d라이브러리
"뇌"(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세히 보면 더 예쁘다! 아주 작은 동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Bagim(이스라엘 사진작가)저는 이스라엘에 살고 있는 사진작가예요. 사실 대학교에서는 뇌과학을 전공했어요. 하지만 전문적으로 사진을 찍고 싶어서 학업을 중단하고 사진작가의 꿈을 이룬 지 7년이 되었답니다. 책이나 인터넷을 통해 혼자 사진 찍는 기술을 익혔기 때문에 시행착오를 많이 겪기도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미국의 록 밴드 ‘이글스 오브 데스 메탈’의 공연이 한창이던 파리 11구역의 바타클랑 콘서트홀. 폭스바겐 폴로 차량에서 3명의 괴한이 내렸다. AK-47 소총으로 무장한 이들은 공연장 ... 본성은 아니다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 ...
- Intro. 디지털 시대의 종말,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기존의 체계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시대를 여는 무언가가 등장했을 때 우린, 패러다임이 바뀐다는 표현을 쓴다. 1946년 최초의 컴퓨터라 불리는 에니악이 발명된 뒤부터 컴퓨터의 패 ... vs 비(非)폰노이만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띠리링. 아침 7시, 벌써 출근 시간이다. 어차피 나가서 할 일도 없는데 출근 시간은 어김없이 돌아온다. “아침은 무엇을 드시겠어요?” “베이글.” 지잉. 얼마 전에 구입한 가사도우미 ... 非)폰노이만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 ...
- 알츠하이머 예측하는 3D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알츠하이머병을 예측하거나 진단할 수 있다. 하지만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찍은 뇌의 2차원 단면사진에서 해마를 구분해내는 일은 만만치 않다. 해마가 머리 속에서 비스듬하게 자리해 있어서 입체적으로 판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3차원 방향전환 가능한 소프트웨어문치웅 인제대 의용공학과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말했어요. 실제 초파리의 뇌는 소금 알갱이만큼 작아요. 디킨슨 교수는 초파리의 행동과 뇌의 변화를 동시에 관찰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랍니다. 연구팀이 밝혀낸 초파리의 능력을 비행기에 활용하면 위급상황에서 비행 방향을 빠르고 안전하게 바꿀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어요. 또한 실제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에너지원으로 쓰인다.이처럼 몸을 조직했다가 다시 에너지원을 만드는 과정에서, 뇌와 장에서는 배부름이나 배고픔을 느끼는 호르몬들이 추가로 분비된다. ‘배꼽시계’의 정체다. 전분을 많이 먹는 잡식동물은, 음식 섭취에 따라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분비량이 확연하게 달라진다. 이에 따라 ... ...
- [친절한 우아씨의 똑똑한 데이트 11] 사랑은 도파민으로부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분비를 촉진시켜보자’고. “그…, 그러니까, 내가 하고 싶은 말은, 너를 볼 때만 내 뇌의 ‘복측피개영역’이 활성화된다는 거야!” 소녀는 그런 소년이 귀엽습니다. 소년의 권태기 극복 작전이 성공한 셈이네요. “좋아하는 연예인을 볼 때보다 사랑하는 연인을 볼 때 2배 더 활성화된다는,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해조류에 들어 있는 알기네이트로 하이드로젤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한쪽에서는 뇌 신경세포와 같이, 연결부위가 엄청나게 복잡한 장기를 칩 위에 구현하려는 시도도 하고 있다. ‘브레인(뇌) 온어 칩’이 많은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알츠하이머의 치료제 개발을 앞당길 수 있기 때문이다. 혈관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발현을 바꾸거나, 변이된 유전자를 선택해 마치 휴전을 택하는 것처럼 보인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는 증식속도를 늦추는 대신 숙주의 몸속에 장기간 증식할 수 있고, 숙주는 최소한의 바이러스를 허용하는 대신 세포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관용 또는 협상이 시사하는 바가 있습니다. 우리 사회는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