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d라이브러리
"
뇌
"(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12살 때 받은 차별 32세까지 간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받은 경험이 전 생애에 걸쳐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는 게 밝혀졌다”며 “청소년기는
뇌
와 신체에 변화가 민감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심리신경내분비학’ 온라인판 8월 26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귀성길 지긋지긋한 멀미, ‘모자’로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국제학술지 ‘신경학(Neurology)’ 9월 4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작은 전극을 이용해,
뇌
에서 운동 신호를 처리하는 부위에 미세한 전기를 가할 수 있는 특수 모자를 제작했다. 그리고 실험 참가자들에게 10분 동안 쓰게 한 뒤 흔들리는 의자에 앉아 멀미가 나는 상황을 경험하게 했다.그 결과 특수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감정이 전이될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또 다른 의견도 있다. 김상희 고려대
뇌
공학과 교수는 이런 현상을 ‘대립과정이론(opponent-process theory)’으로 설명했다. 특정한 정서가 강하게 형성돼 심리적 평형이 깨지면,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그 반대의 정서가 형성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을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있다면, 성인이 되어서 알코올이나 게임에 중독될 확률이 높다는 뜻이다.김 박사는 “
뇌
는 이성적이면서 감성이 풍부한 덕분에 인류 문명을 발달시켰지만, 현실과 가상세계를 잘 구분하지 못한다”면서 “게임이나 스마트폰 같은 가상세계보다 운동처럼 현실에서 즐길 수 있는 취미를 찾으라”고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온몸에 전선이 퍼져 있는 것처럼 이어져 있다. 신경세포는 전기신호를 주고받으면서
뇌
가 내린 명령을 운동기관까지 전달한다. 학자들은 이런 현상을 수학 모형으로 만들어 동물이 걷는 원리를 연구한다.영국 케임브리지대 생물리학자인 앨런 호지킨과 앤드루 헉슬리는 신경세포 하나가 전기신호를 ... ...
유명 학자 연구도 비판하는 정신 필요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통해
뇌
과학자가 되고 싶다는 꿈이 생겼다”며 “행사가 끝난 뒤 바로 도서관에 가서
뇌
과학 책을 찾아볼 것”이라고 말했다. 강원도에서부터 41명의 학생을 인솔해 참가한 정해선 동해광희고 교사는 “상대적으로 교육 기회가 적은 강원도 아이들에게 과학자를 직접 만날 계기를 마련해주고 다른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만드는 모습을 기대할게요!2015년에도
뇌
에 대한 비밀이 다 밝혀지지 않았다니…. 어서
뇌
의 비밀이 밝혀져서 더 멋진 세상이 펼쳐졌으면 좋겠어. 그때도 친구들을 만나러 올게! 그럼 난 간다~, 슝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수소 하나가 하이드록시기(-OH)로 치환된 하이드록시메틸 시토신(5hmC)을 인간과 쥐의
뇌
세포에서 발견해 2009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50년 전에 박테리오파지에서 처음 발견됐지만 인간에서 발견된 것은 2009년이 처음이다. 2년 뒤에는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이 TET 단백질이 5mC를 산화시켜 5hmC를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변한 세포가 영원히 피부세포로 남는다는 것이었다. 출발점이 같다면 왜 피부세포는
뇌
세포가 될 수 없을까. 영국의 생물학자 콘래드 와딩턴은 이를 두고 세포의 운명을 산 위에서 계곡으로 굴린 바위에 비유하면서, 바위가 산 밑 계곡으로 굴러가면 산 정상이나 다른 계곡으로 돌아가기 힘들다고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변화 양상도 유사했다. 즉, 귀신이 직접적으로 등장하는 장면이나 전조 장면이나 우리의
뇌
는 별반 다르게 받아들이지 않았다.미국 뉴욕주립대 ‘감정 연구 센터(CSEA)’의 피터 랭 교수는 2009년 논문에서 실제로 불쾌한 감정(여기엔 공포의 감정이 포함된다)일 때와 그 상황을 상상할 때 각각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