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뇌"(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단순 계산을 하는 알고리즘 여러 개를 서로 연결해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이에요. 뇌 신경조직의 신경세포망처럼 만든 거죠. 그래서 계산에 맞지 않는 데이터가 생겨도 연결된 다른 알고리즘을 찾아 해결하거나, 비슷한 데이터들을 찾아 새로운 규칙을 만들어 처리할 수 있답니다.연구팀은 이 ... ...
- [지식] 전기 신호로 심장을 다시 뛰게 하다!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관한 이야기였다.심장차단 증상이 생기면, 심장이 자신의 상황을 알리기 위해 뇌에 신호를 열심히 보내도 신경에 문제가 생겨 잘 전달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제때 문제를 발견하지 못해 결국 환자를 잃게 된다는 이야기였다. 옆에서 조용히 그들의 이야기를 듣던 그레이트배치는 어딘가 모르게 ... ...
- Part 3. 강함을 배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결과 딱따구리는 단단하지만 탄성 있는 부리와 스펀지 구조의 두개골, 그리고 두개골과 뇌 사이에서 진동을 차단하는 액체층을 갖고 있었다. 또 혀에서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설골층이 발견됐다.딱따구리의 이런 구조는 우주선이나 자동차 에어백, 헬멧 등에 적용하는 충격흡수재 개발에 적용될 수 ... ...
- [과학뉴스] 시험기간 초콜릿 당기는 이유 있었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12일 동안 하루 3차례 설탕을 탄 단 음료를 마시게 한 뒤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비로 뇌를 촬영했다.실험 결과 단 음료를 마신 뒤에는 해마의 활성도가 눈에 띄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과 기억에 관여하는 해마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활성이 낮아지는데, 이를 높여준 것이다. 케빈 ... ...
- [과학뉴스] 색깔을 ‘듣고’ 음악을 ‘맛보는’ 감각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훨씬 밀접하게 여기는 것으로 드러났다. 굿휴 박사는 “공감각을 느끼는 사람들의 뇌는 한 부위가 자극 받았을 때 다른 부위도 동시에 활성화된다”며 “서로 다른 감각을 유연하게 느낄 거라는 애초 가설과 달리, 개인마다 공감각을 느끼는 감각 쌍이 고정돼 있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 ...
- [지식] 냄새를 보는 행렬수학동아 l2015년 05호
- 후각 수용체와 각각 결합해요. 후각 수용체는 향기 분자와 만나면 전기신호를 만들어 뇌로 보내요. 그러면 무슨 냄새를 맡은 건지 알 수 있답니다.사람의 후각 세포는 약 500만 개예요. 사람보다 후각이 발달한 개는 후각 세포가 2억개가 넘어요. 후각 세포에서 향기 분자와 결합하는 후각 수용체는 300 ...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방법을 찾았다. LCL(Link Connect Liquid)이라는 가상의 액체를 사용해서 말이다. 조종사는 뇌에 센서를 심는 대신, 조종석에 가득 찬 액체를 들이마셔 에바와 신경접속한다(침습형 BMI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LCL은 조종사의 폐에 직접 산소를 공급한다. 이건 실제 모델이 된 물질이 있다. 퍼플루오로데칼린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단백질이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해 빛에 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한다. 결과적으로 뇌가 빛을 ‘볼 수 있다’. 개를 비롯한 대부분의 포유류는 이런 원추세포를 2종류밖에 갖고 있지 않다. 이에 비하면 사람은 시각이 좋은 편이다. 총 100만 가지 이상의 색을 분리해낼 수 있다.그러나 새는 여기서 한 ... ...
- 치아 만드는 유전자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입 안에 ‘가짜 치아’를 넣는 건 상상만으로도 너무 끔찍해. 흑흑~. 그런데 오늘 아침에 뇌박사가 아주 신나는 소식을 알려 줬어. 가까운 미래에는 내 치아를 키워서 잇몸에 심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거야.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인지 알아봐야겠어!치아야, 너는 도대체 누구니? 우리는 소화가 ... ...
- [Life & Tech] ‘개저씨’와 ‘꼰대’를 위한 변명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각기 다른데, 보통 E4가 15% 발현되고 E3는 78%, E2는 7% 정도 발현된다.이런 변이는 인류의 뇌가 커지고 수명이 길어지는 과정과 함께 일어났다. E4형은 콜레스테롤 대사를 잘하지 못하는 단백질인데, 장수에 적합하지 않고 알츠하이머형 치매에 취약해 인류의 유전자 풀에서 E3나 E2로 점차 대치되고 있는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