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뇌"(으)로 총 3,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과연계수업] 긁적긁적, 환절기에 피부가 더 가려운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되고, 이 자극은 척수를 따라 뇌에서 감각을 처리하는 대뇌피질(두정엽)에 전달돼요. 대뇌피질은 이 자극을 가려움이라고 판단하고, 긁으라는 명령을 내리게 되지요. 모기에 물렸을 때를 떠올려 보세요. 빨갛게 달아오르며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을 느끼게 되죠? 모기의 침이 피부를 찌르면 염증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물리적 구조를 본 딴 수학적 모델을 개발했다. 바로 ‘인공신경망(neural network)’이다.두뇌는 기능적 최소 단위인 뉴런이 그물처럼 연결돼 있다. 뉴런은 수상돌기, 신경세포체, 축삭, 축삭말단 등으로 이뤄져 있다. 외부에서 주어진 자극은 세포체 주변을 둘러싼 나뭇가지 모양의 수상돌기로 전달된 ...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미래창조과학부에서 2013년부터 추진한 소프트 웨어 프로젝트 중 하나로, ‘몸 밖의 뇌’라는 뜻이다. 예컨대, IBM 왓슨처럼 의학 전문지식을 갖춘 대화형 인공지능이 목표다. 여기에 필요한 기술은 자연어 이해, 지식 학습, 자연어 질의응답 등 세 가지. 사용자가 말한 온전한 문장을 형태소 별로 ... ...
- ‘조울조울’ 감정 기복 심한 사람 유전자부터 다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ADRA2b’ 유전자에 변이가 나타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감정을 조절하는 뇌 부위가 과활성화된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아냈다.감정 변화에 더 민감하다는 뜻이다. 레베카 토드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외상후스트레스 장애(PTSD)와 같은 심리적 장애를 치료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 ...
- 광우병 막을 유전자 돌연변이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발병하는 광우병이나 사람이 걸리는 크로이츠펠트-야코브(CJD)병과 매우 유사한데, 뇌 프리온 단백질에 변형이 생기면서 주변에 있는 다른 단백질까지 변형되는 것이 원인이다.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의 존 콜린지 교수팀은 쿠루병에서 살아남은 사람에겐 이런 변형 프리온 단백질에 저항성을 ... ...
- 여름에는 누구나 수학 성적이 떨어진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올라가니, 학생들의 수학 성적은 1.6%p(퍼센트 포인트)하락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뇌가 생각을 할 때 많은 열이 발생하는데, 기온이 높아지면 열처리에 어려움이 생기는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지빈 교수는 기온이 높아지면 일시적으로 수학 성적이 나빠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장기적인 ...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연구팀은 실험참가자에게 ‘아내와 장모’를 보여 준 뒤 밀리초(ms, 1000분의 1초) 단위로 뇌파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처음에는 알파파가 증가했지만, 약 250~500ms가 지나자 알파파가 감소하고 감마파가 증가했다. 실험을 반복한 결과, 연구팀은 아무리 잘 알려진 중의적인 그림이라도 ... ...
- [Life & Tech] 혀를 중독시킨 붉은 마약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비슷하다. 오래 달리다보면 우리 몸은 고통을 느끼게 되고, 이 고통을 달래기 위해 뇌는 엔돌핀을 분비한다. 엔돌핀이 주는 쾌감에 빠져 마라토너는 계속 달리게 된다. 김선아 한국방송통신대 가정학과 교수(식품영양 전공)는 “우리의 혀 역시 더 많은 엔돌핀을 얻기 위해 계속 매운 음식을 찾게 ... ...
- [수학뉴스] 유전자도 꿰어야 보배~!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어느 부분이 망가지면, 병이 걸리는지도 살펴봤습니다. 파킨슨병의 경우 중뇌의 흑질 조직과 PARK2 같은 유전자와 연관이 깊었습니다.연구팀은 세포조직회로를 이용해 질병의 정확한 원인을 알고 그에 맞는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유전학’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몸의 위 치가 바뀌었다는 정보를 뇌로 전달한다. 만약 두 정보 가 일치하지 않으면? 뇌가 이상을 느껴 멀미가 발생 한다. 현재 HMD는 대부분 반응속도가 20ms보다 길 어서, 오래 사용하면 현기증이나 구역질이 생긴다.해상도를 높일수록 컴퓨터가 영상을 처리하는 시 간이 오래 걸린다. 더구나 입체감을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