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따뜻한 피를 가진 빨간개복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다닌다기보다 먹이가 다가오길 기다리는 편이죠. 많이 움직이면 에너지를 쓰고, 체온 조절이 어려워지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우린 따뜻한 피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다른 심해어들과 달리 빨리 움직일 수 있어요. 덕분에 사냥을 하거나 포식자를 피해 빠르게 도망 다닐 수도 있답니다.그런데 닥터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정량화하기 위해 긍정적인 단어, 부정적인 단어를 기준으로 뉴스피드 게시물의 빈도수를 조절했다. 그 결과 부정적인 게시물에 노출된 빈도가 적어진 사람들은 게시물을 올릴 때 대조군에 비해 긍정적인 단어는 더 많이, 부정적인 단어는 더 적게 썼다. 반면 긍정적인 게시물에 노출된 빈도가 줄어든 ... ...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g도 줄지 않은 것은 기적이었다.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가 1인치씩 줄긴 했지만 운동량과 조절한 열량에 비하면 기대에 한참 못 미쳤다.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팀이 2014년 11월 ‘플로스원’에 발표한 연구 등 수많은 연구들은 DNA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이어트를 하면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했다.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준비돼 있어야 합니다. 프로펠러 부러져도 날 수 있다쿼드콥터는 프로펠러 4개의 속력을 조절하면서 방향과 자세를 잡고 비행합니다. 출렁이는 배 위에서 노를 저어 나아가거나 균형을 잡는 원리와 같습니다.오른쪽 프로펠러 2개를 왼쪽 프로펠러보다 빠르게 돌리면 왼쪽으로 기울며 날아가고,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푼 몸속 시계의 원리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알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생체 회로는 주로 호르몬과 신경으로 이뤄지는데, 이를 조절하는 게 ‘음성피드백’입니다. 어떤 물질이 필요 이상으로 나오면 음성피드백이 강하게 작용해 분비를 억제합니다. 반대로 물질의 양이 적어져 부족해지면 음성피드백은 약해져 분비를 촉진합니다. 물질의 ...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다른 하나는 공중에 떠다니는 전파 중에 필요한 신호를 잡는 기능이다. 사람들은 전류를 조절할 수 있는 발명품이 탄생하자, 일종의 라디오 수신기 같은 전파 수신 장치를 꿈꾸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 두 가지 기능만으로는 라디오 수신기를 만들 수 없었다. 공중에서 흘러 들어온 전파를 사람의 ... ...
- 한글을 그리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예를 들어 살펴보자. 드리거로 만든 고딕체와 명조체를 보면 같은 문자라도 조절하는 점의 개수가 다르다. 완전한 원과 선분으로만 이뤄진 고딕체와 다르게 명조체는 선 끝마다 돌기가 있기때문이다. 굴곡이 많은 명조체는 제작하는데 시간도 많이 걸린다. 서양은 펜으로 글씨를 썼고 한국을 포함한 ... ...
- Part 3. 벽과 바닥에 숨은 난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발견된 볼록 오각형은 모두 열다섯 가지다. 하지만 조건에 맞게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를 조절하면 실제로 만들수 있는 타일의 모양은 열다섯보다 많다. 예를 들어, 여섯 번째 볼록 오각형은 다섯 각의 값을 바꾸면 위 그림처럼 나비의 날개를 닮은 오각형으로 바꿀 수 있다. 하지만 열네 번째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재배한 첫 상추, 어떤 맛일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33일 동안 자랐다. 베지는 태양광 대신에 LED 불빛을 이용하며, 온도와 습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장치다. 2014년 NASA가 우주선에서 안전하게 채소를 기를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veg-01’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설치됐다. 혹시 모를 위험에 대비해, 베지에서 자란 상추는 지난해 10월 지구에서 ...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분비되는 전두피질 부위가 망가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 세로토닌이 줄어들면 분노 조절이 어려워서 쉽게 화를 낼 뿐 아니라, 충동적이고 폭력적으로 변하거나 우울증이 생기기도 한다.디지털 중독인지 아닌지 수학으로 진단전문가들은 디지털 중독이 아닌지 스스로 돌아보면서 스마트폰을 사용해야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