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막는다. ATP를 생성하는 대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체온을 높여주는 것이다. 때문에 체온
조절
이 어려운 어린 아이는 갈색지방이 반드시 필요하다.어린 아이나 일부 동물에게만 있다고 알려졌던 갈색지방이 주목을 받게 된 건 2009년부터다. 네덜란드 마스트리히트대 연구팀이 성인의 몸에서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캐비어 안에 넣는 액체의 성질이나 캐비어를 만드는 알긴산나트륨이나 칼슘의 양을
조절
하며 다양하게 실험했다. 먼저 캐비어에 가두는 액체는 신맛이 날수록 캐비어가 좀 더 굵어졌다. 겔의 두께는 액체의 산성도를 나타내는 수소이온지수(pH)가 커질수록 얇아졌다.물리화학자들이 실험을 해본 ... ...
[생활] 디자인 놀이터에서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핀을 촘촘하게 꽂은 두 개의 틀 사이에 알루미늄 판을 끼우고 곡률에 따라 핀의 높이를
조절
해 판을 휘는 원리예요. DDP는 한 방향으로만 휘어진 1차 곡면판 9554장, 두 방향 이상으로 휘어진 2차 곡면판 2만 1738장을 사용해 부드러운 외벽을 완성했다고 해요.이번 데이트에서는 수학적인 아이디어로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euchromatin)이라고 한다.유전체 수준에서 전사를
조절
하려면 필요에 따라 두 가지 상태를
조절
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중요한 것은 히스톤의 화학적 변형이다. 예를 들어 H3 히스톤의 27번째 라이신(K)에 메틸기가 세 개 붙으면 이질염색질로 변한다(상단 그림 참조). 이외에도 히스톤 아미노산에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DNA를 감는 실패 역할을 하는 히스톤의 아세틸화가 DNA를 풀었다 감으면서 전사를
조절
하는 것이 확실해졌다.1996년 이후의 후성유전학은 이전과는 완전히 다르다. 이전에는 후성유전학의 개념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었다. ‘DNA 외에 무엇인가 있을 거다’나 ‘메틸화가 DNA에 영향을 줄 것이다’라는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비암호화 RNA를 정교하게
조절
할 수 있게 된다면 메틸화나 히스톤 변형 등을 직접적으로
조절
하지 않고도 암을 정복할 수 있을 것이다. 쓰레기 RNA의 반란에 주목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RNA 조성이 바뀐다. 그중 크기가 작은 간섭RNA는 바로 옆의 생식세포로 넘어가 DNA의 발현을
조절
한다. 동물에서도 작은 크기의 RNA가 세포와 조직 간을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어쩌면 이것이 보통 세포와 생식세포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도 사용돼 체세포의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못하는 사람을 위한 로봇팔을 만들었어요.연구팀은 오른팔과 오른손의 움직임을
조절
하는 뇌의 영역에 가로 세로 6mm 크기의 전극 2개를 심었어요. 그리고는 환자에게 팔의 다양한 움직임을 상상하도록 했어요. 그리고 이때 나오는 신호를 컴퓨터에 입력했지요. 이후 환자의 뇌와 컴퓨터, 로봇팔을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전자를 내보내고,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원리입니다. 재밌는 건 이 염료를
조절
하면 태양전지에 알록달록한 색깔을 입힐 수 있다는 겁니다. 건물의 내·외벽 장식재로 쓸 수 있는 건 물론이고 투명하게 만들어 유리창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휴대폰이나 노트북에 장착한다면? 네, 더 ... ...
‘조울조울’ 감정 기복 심한 사람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연구팀은 ‘ADRA2b’ 유전자에 변이가 나타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감정을
조절
하는 뇌 부위가 과활성화된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아냈다.감정 변화에 더 민감하다는 뜻이다. 레베카 토드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외상후스트레스 장애(PTSD)와 같은 심리적 장애를 치료하는 데에도 도움이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