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전송하기 위해 정보를 보내는 시점과 받는 시점을 맞추고(동기화), 정보의 양을 잘 조절해서 보내죠(흐름 제어). 또 어느 경로로 보낼 건지, 오류를 어떻게 수정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작전을 짭니다. VLC 시스템에서는 정보를 전기 신호가 아닌 빛 신호로 변환해 보낸다는 점이 다를 뿐입니다.아이참, ... ...
- [Life & Tech] 바이오 기업 ‘테라노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것이 김 대표의 설명이다. “아주 적은 양으로 정확한 실험을 하기 위해서는 미세유체를 조절하는 하드웨어기술이 필수적인데, 만약 이런 기술이 있다면 특허등록을 해도 손해를 볼 것이 없습니다. 특허와 논문은 투자 유치와 기업 홍보에 큰 도움이 되니까요.”또 다른 바이오 스타트업인 툴젠의 ... ...
- [Knowledge] 백제시대엔 철 어떻게 만들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실험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한 연구사는 “제철로의 규모가 커지면 여러 통제 조건을 조절하기가 무척 까다로워진다”고 말했습니다.비록 실험은 까다롭지만, 실험을 통해 얻은 실증 자료가 쌓이면 고대 제철기술 복원은 그만큼 가까워질 것입니다. 한 연구사는 “2019년까지 중원지역 제철로를 ... ...
- 따뜻한 피를 가진 빨간개복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다닌다기보다 먹이가 다가오길 기다리는 편이죠. 많이 움직이면 에너지를 쓰고, 체온 조절이 어려워지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우린 따뜻한 피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다른 심해어들과 달리 빨리 움직일 수 있어요. 덕분에 사냥을 하거나 포식자를 피해 빠르게 도망 다닐 수도 있답니다.그런데 닥터 ...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모양이 바뀌어요. 사람마다 다른 머리 모양과 높이에 맞춰 높이 베개의 높이를 1mm씩 조절하는 거지요.기자들은 과학관을 둘러보며 공학베개처럼 일상생활에서 공학기구를 활용하는 아이디어를 생각해 볼 수 있었어요. 김서윤 기자는 시계추처럼 좌우로 왔다 갔다 하는 기구를 보며 “만약 세차장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에너지를 낸다.체지방은 에너지 저장고로 쓰일 뿐만 아니라, 내장을 보호하고 체온을 조절하기도 한다. 보통 남자의 체지방률은 15~20%, 여성의 체지방률은 20~25%이다.體質量指數 체질량지수(몸 체, 바탕 질, 헤아릴 량, 가리킬지, 셈 수)체질량지수는 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비만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뛰어넘는 큰 차이점이 하나 있다. 바로 인간의 ‘의지’다. 인간은 본능적 반응을 조절하는 의지력이 탁월하다. 맛있는 음식이 눈 앞에 있으면 열량 섭취가 많아져도 더 먹고자 한다. 식사를 마친 뒤에 달콤한 케이크 같은 후식을 더 먹을 수 있다. 이는 생리학적인 이유라기보다 다분히 심리적인 ...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독니를 통해 독소가 분비되는 구조다.놀라운 사실은 독사들이 필요에 따라 압축근육을 조절해 분비하는 독소의 양을 제어한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많은 양의 독이 필요한 큰 사냥감의 경우 분비선을 강하게 눌러서 많은 양의 독을 주입시키고, 반대로 몸집이 작은 사냥감의 경우 분비선을 약하게 ... ...
- [참여] 내 손으로 날리는 다재다능 드론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오른쪽으로 날아가게 만드는 기술도 처음엔 서툴 수밖에 없습니다. 리모컨을 다룰 때 힘 조절이 쉽지 않아 드론이 공중에서 급정거를 하기도 합니다.선생님은 “드론이 처음에는 조종하기 어렵지만 모형 헬리콥터를 조종하는 것보다는 훨씬 쉽다”고 말했습니다. 드론은 헬리콥터보다 진동이 적을 ... ...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눈과는 반대로 동공 위아래에 근육이 달려 있다. 가로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해 수평적인 시력이 뛰어나다.연구팀은 네모 눈동자를 흉내 낸 카메라로 광축을 시축과 비교했다. 광축은 눈에서 동공, 망막까지 선으로 그었을 때 생기는 축이며, 시축은 실제로 눈에 들어오는 시야에서 가장 끝에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