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도 조각퍼즐을 좋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조각퍼즐 맞추기 고수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들의 사용하는 조각은 바로 세포.
미국
리버사이드 소재 캘리포니아대 젠비아오 양 교수팀은 잎의 세포가 조각퍼즐처럼 서로 맞물려 자라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셀’ 3월 11일자에 발표했다.세포가 이처럼 배열된 것은 연약한 잎의 강도를 ... ...
고온 통증 느끼는 피부 단백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국내 과학자가 참여한 공동 연구팀에 의해 발견됐다.고려대 의대 황선욱 교수는
미국
스크립스연구소와 노바티스유전체연구소 연구진과 공동으로 생쥐의 피부에서 고온에 대한 통증을 담당하는 단백질 TRPV3을 찾았다고 3월 4일 밝혔다.TRPV3은 33℃ 이상의 온도에서 활성화되는데 온도가 높을수록 ... ...
세균 사탕발림에 놀아난 면역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살 수 있을까. ‘면역 역설’로 불리는 이 현상을 설명하는 연구결과가 최근 나왔다.
미국
하버드의대 로리 콤스탁 교수팀은 미생물이 숙주에서 얻은 당분자로 표면을 코팅함으로써 숙주와 공존하는 전략을 개발했다고 ‘사이언스’ 3월 18일자에 발표했다.대장에 흔한 세균인 박테로이데스 ... ...
03 세계는 종자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많고 장차 자국의 희망을 채워줄 큰 자산이 아닌가. 고유종 관리 시스템 필요지금도
미국
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은밀히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인 방법을 통해서 세계 구석구석에 있는 식물자원을 확보하는데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우리나라에는 자연사 박물관과 같은 국가적 차원의 ... ...
67시간의 논스톱 세계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체력을 통해 포셋은 단독 비행기 세계 일주에 성공한 것이다.그의 이력도 이채롭다. 그는
미국
워싱턴대에서 경영학을 전공했으며 시카고에서 금융업으로 큰 돈을 번 뒤 나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각종 모험을 즐기고 있다. 이번에 세계일주 기록을 세우기 전에도 지난 1985년 런던 해엽을 22시간만에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검증 없이 계속 인용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는 것.수년 전 미각의 메커니즘을 밝힌
미국
마운트시나이의대 로버트 마골스키 교수는 “모든 미각은 맛봉오리가 있는 혀의 모든 지점에서 감지될 수 있다”며 “혀지도는 과학에서도 고정관념을 버리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 ...
과학으로 승부한다, 아디다스 원 넘버 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따라 ‘추워’,‘무서워’ 등 감정까지 표현하는 ‘인공지능’ 인형. 퍼비는 1990년대 말
미국
에서 그야말로 인기가‘짱’이었다.크리스찬 디베네데또 박사가 퍼비를 해체해 이리저리 살펴보고 있다. 그는 5명으로 구성된 ‘이노베이션 팀’의 리더다. 디베네데또 박사팀은 전 세계에서 아디다스의 ... ...
차세대 정보통신기술 흐름 한자리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형태의 HSDPA폰을 보여 주지는 못했고, 일본 NEC도 HSDPA시스템만 전시했을 뿐이다.
미국
업체들은 직접 장비를 선보이지는 못했지만 자사 와이맥스 기술을 소개했다. 무선 광대역 인터넷을 구현하는 와이맥스는 반경 48km 내에서 70Mbps의 속도로 통신한다. 와이맥스에 이동성을 덧붙인 와이브로 역시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미국
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은 우주가 팽창하고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허블은 방향에 관계없이 우리로부터 두 배 먼 은하는 두 배 더 빨리, 세 배 더 먼 은하는 세 배 더 빨리, 더 먼 은하는 더 빨리 멀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입니다. 따라서 불안한 아인슈타인의 우주 모델은 자연스럽게 ... ...
제3의 시각세포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하는 셈이다. 그러나 멜라놉신이 정확히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은 상태였다.
미국
소크연구소 사치다난다 판다 박사팀은 멜라놉신이 정말 빛에 반응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생쥐의 멜라놉신 유전자를 개구리 난모세포에서 발현시켰다. 그 결과 멜라놉신을 함유한 난모세포가 빛에 민감하게 ... ...
이전
1016
1017
1018
1019
1020
1021
1022
1023
10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