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4년간 82편 '논문 女王' 탄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졸업과 함께 3월
미국
유학을 떠나는 장 씨는 “평소 꿈꿔 온 줄기세포 연구를 위해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의 박사후과정에 진학해 치매나 중풍 같은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연구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 ...
의자로 본 디자인 변천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앉아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을 위해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사무용 의자로
미국
의 저명한 의자디자이너 도널드 채드윅의 작품이다. 높낮이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신소재 그물망을 사용, 단열성과 통기성이 뛰어나다.루이 201992년파리 출신의 세계적인 디자이너 필립 스탁의 작품으로 우아한 ... ...
“디자인은 기술을 안내하는 설명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기술이 우선, 디자인은 나중’이라는 관행을 통쾌하게 거부한다. 이노디자인의
미국
지사와 한국본사를 오가는 ‘블랙박스’ 속에는 상상을 초월하는 제품기획들이 가득 담겨 있다.“디자인을 먼저 한 뒤 그 안에 들어갈 기술을 개발하거나 발굴하는 전략을 쓰고 있습니다. ‘디자인 우선, 기술은 ... ...
불규칙한 바람에서 노다지를 캐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미국
뉴욕을 향해 인천공항을 이륙한지 3시간째. 갑자기 기체가 흔들리며 안전벨트 착용을 알리는 기내 방송이 들린다. 급작스런 난류를 만난 것뿐이니 걱정말라는 기장의 음성이었다. 하지만 평온하던 기내는 이내 불안으로 술렁인다.이런 상황은 장시간 비행기 여행에서는 흔히 겪는 경험이다. ... ...
신이 내린 선물 곰팡이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저하, 당뇨병, 백혈병, 심장병, 고혈압 등에 신비할 정도로 약효가 뛰어나다고 입증됐다.
미국
병원에서는 이 곰팡이를 처방전에도 사용한다. 이 곰팡이는 해발 3000~ 4000m의 티벳 고원에 사는 박쥐나방의 애벌레에만 기생해 인공배양이 불가능하다. 곤충병원성 곰팡이로부터 발굴한 대표적인 의약품이 ... ...
우주는 여전히 출산 중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전에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36개의 밝고 콤팩트한 아기 은하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프랑스 광학연구소, 그리고 연세대 이영욱 교수팀이 함께 만든 갤렉스는 2003년 4월 28일에 발사된 이후 성공적으로 활약하고 있는 자외선 관측위성이다.은하에서 1억 살은 갓난아기옆에서 ... ...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작은 것이 있는데 각각 대(大)마젤란성운과 소(小)마젤란성운이라 불린다.지난 1월 12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소마젤란성운 사진과 함께 이곳에서 처음으로 태아별 무리를 발견한 사실을 공개했다. 아기가 울음을 터트리며 태어나듯이 별은 중심에서 수소가 타면서 빛을 ... ...
화상전화기 vs 음성전화기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서비스는 AT&T사의 기대와 달리 사업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6개월이 지나도록
미국
을 통틀어 설치된 화상전화기는 71대에 불과했다. 하지만 AT&T는 시기가 좀 지체될 뿐이지 곧 음성통신 시대가 사라지고 화상통신 시대가 올 것이라고 확신했다.이 믿음은 전혀 근거 없는 것은 아니었다. 당시 한 ... ...
토성 오로라의 신비 밝혀져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비밀을 밝혀냈다.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응용역학연구실 김주환 연구원은 “
미국
보스턴대 존 클라크 교수 연구팀과 함께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찍은 영상을 분석해 토성 오로라의 특징을 알아냈다”고 2월 16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2월 17일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오로라는 ... ...
무중력에선 이끼도 나선을 그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자라거나 어두운 곳에서는 중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란다. 당시 연구를 수행했던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식물생물학자 프래드 색 교수는 “빛과 중력의 영향이 사라졌을 때 나타나는 나선형이 원래 이끼의 성장패턴이었을 것”이라며 “식물이 어떻게 중력을 감지하는지는 아직 모르는 ... ...
이전
1017
1018
1019
1020
1021
1022
1023
1024
10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