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EXO직캠 찍어볼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 오, 관측경력 20년? 외계행성 찾는 작업이 실제로 가능한지, 외국 학자의 허풍인지 구분해줄 수 있을 것 같다. 바로 전화를 걸었다.DSLR로 외계행성 찍어볼까전화를 받은 이는 교사였다. 서울 풍문여고에서 천체관측반을 맡고 있는 조용현 과학교사. 그는 호기롭게 대답했다. “영상 봤는데요, ... ...
- [Knowledge] 절대공간은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있다. 즉 회전한다는 사실로부터 절대적인 참된 운동과 물체들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을 구분할 수 있으며, 절대공간이 실제로 존재함을 추론할 수 있다. 뉴턴은 절대적인 가속도가 절대공간의 존재를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절대공간은 진짜 있을까라이프니츠는 뉴턴의 논리에 제대로 ...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영구암대는 습도가 90%가 넘을 정도로 높아서 땅에서 사는 동물과 물속에서 사는 동물을 구분하는 것이 애매할 정도로 호흡 기관이 퇴화되기도 해요. 또 먹이가 부족하기 때문에 아주 먹은 먹이를 먹고도 오랫동안 살 수 있도록 적응했지요. 해외에서는 먼지벌레 종류가 2년 동안 먹이 없이 생존한 ... ...
- [과학뉴스] 페이스북 ‘좋아요’가 내 성격 맞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방법으로 분석해서 개인의 성격을 외향적, 개방적, 우호적, 성실성, 신경증적 성향으로 구분했다. 그 결과를 컴퓨터 예측과 비교한 결과 컴퓨터 분석이 약 56%의 정확도로 참가자의 성격을 예측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친구와 가족보다도 정확하게 예측한 결과다.코신스키 교수는 “이 성격 분석 ... ...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과학동아 l2015년 02호
- d의 신호가 오 면 ‘the’, ‘ay’앞에 신호가 오면 ‘day’다. 진동해킹의 단점 은 패턴을 구분하기 위해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진동을 만드는 대상, 센서를 부착하는 위치에 따라 분석을 다시 해야 한다. 그래도 조심해서 나쁠 것은 없으니, 만약 여자친구가 휴대전화를 책상 위에 놓고 ... ...
- [Knowledge] 최정의 86억은 거품일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비주전 3루수에 비해서 팀에 3.5승을 챙겨주는 것이다. WAR의 가장 큰 장점은 투수와 타자 구분없이 ‘승리’로 선수의 가치를 환산하기 때문에 둘을 직접 비교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로써는 투수와 타자의 가치를 직접 비교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지표다.메이저리그에서는 WAR에 따라 FA 선수의 ... ...
- [Knowledge] 초속 299,792,458m를 약속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동시에 그 속도가 정지한 관찰자가 본 속도인지 혹은 움직이는 관찰자가 본 결과인지도 구분되지 않는다. 누가 보든지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특수상대성이론의 해석이 맥스웰 방정식에 이미 존재했던 것이다.If?빛보다 빠른 입자가 있다면?2011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한 과학자는 빛보다 ... ...
- PART 1. 미국은 왜 북한을 지목했나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나쁜 놈, 안 쏘면 좋은 놈 이었다. 사이버 전쟁은 총알 못지않은 공격이 오가지 만 적을 구분해내기 쉽지 않다. 또 배신도 그만큼 쉬 워져서 누구 하나 믿기 힘들다. 언제 우리나라가 공격 대상이 될지 모른다. 이미 몇 번이나 북한에게 당하지 않았는가. 중국의 국유기업인 차이나 유니콤의 망 ... ...
- [Knowledge] 방사능벨트가 지구 보호한다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통과했느냐는 겁니다. 반 앨런대는 도넛 모양의 내대(안쪽 벨트)와 외대(바깥쪽 벨트)로 구분합니다. 지표에서 1000~5000km 높이에 있는 내대는, 태양계 밖에서 온 높은 에너지의 우주선(cosmic ray)이 지구 대기의 분자나 원자와 충돌할 때 생기는 양성자와 전자(바로 하전 입자)로 구성된다고 알려져 ... ...
- [Knowledge]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훨씬 싼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게 특징이다(박스 기사 참조).“임계점 이상으로 올라간 이산화탄소는 액체와 기체의 구분이 사라지면서 중간 성질을 가집니다. 이 때문에 증기와 가스방식의 장점을 두루 갖게 되죠.”동행한 이정익 교수가 말했다. 이 교수는 4년 전 KAIST에 부임한 이후 줄곧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시스템을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