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더럽혀진 선행은 선행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보수적인 것은 당연하다. 지난번에 소개한 ‘역겨움’처럼(과학동아 6월호) 선한 사람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착한 일에 대한 기준이 유독 빡빡하기 때문에 때로 착한 일을 하고도 욕을 먹으며, 때로는 아예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게 이득이 되는 역설적인 현상이 나타난다 ... ...
- [생활] 축구 선수의 팀 기여도 네트워크 분석으로 측정한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수비가 명확하게 구분된다. 각 선수의 성적은 공격 기여도와 수비 기여도로 명확히 구분해 평가가 가능하다. 그리고 전체 경기의 흐름은 투수가 공을 던지고, 타자가 공을 치고, 주자가 뛰는 별개의 사건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사건별로 선수 개인의 성적을 분류하고 수로 나타낼 수 있다. ...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나왔을까. 여기에도 진화가 개입했을 가능성이 크다. 뇌는 분명히 얼굴을 통해 사람을 구분하고 파악하는 쪽으로 ‘똑똑하게’ 진화했다. 하지만 그 동안 얼굴이 놀고만 있던 것은 아니다. 얼굴 역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방향으로 진화했다. 만약 얼굴 표정을 통해 자신의 성격과 특성, 감 정을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소천체가 맹렬한 속도로 태양 주위를 돌고 있을 뿐이다. 태양은 더욱 멀어져 별과 거의 구분하기 힘들 것이다. 춥고 어두운 텅 빈 공간이 나를 기다리고 있다.카이퍼벨트 소천체들은 지금은 교과서나 과학책에 흔하게 등장해, 오래 전부터 사람들이 알고 있었던 것으로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그렇지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집합체)를 형성하기 전까지 눈에 보이지 않는다. 현미경으로 관찰해도 신종인지 아닌지 구분할 수조차 없다(PLUS 참조). 이런 상황에서 아무리 신종헌터라지만, 새로운 종에 대한 감각이 있을까. "비과학적으로 보이기는 한데, 느낌이 와요. 현미경으로 관찰하다보면 직감적으로 신종을 알 수 있어요. ... ...
- [과학뉴스] 바다는 7대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바다의 ‘경계’로 해석했다. 예를 들어 태평양과 대서양은 적도 부근에서 완전히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로 다른 바다라는 뜻이다. 반면 호주 서쪽의 인도양은 남태평양과, 아프리카 남쪽 바다는 남대서양과 하나로 합칠 수 있었다.연구팀은 해양쓰레기가 어디서 오는지도 밝혔다. 예를 들어 ... ...
- [fun] 두꺼운 도감에 따뜻한 이야기를 불어넣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강조한다. 지오북이 추구하는 가치를 엿볼 수 있다.지오북에서는 전공서적과 대중서적을 구분해 출판하지 않는다. 오히려 전문서적은 좀더 쉽게, 대중서적은 좀더 정보를 넣어서 만든다. 출간하는 책이 전문가와 일반인을 모두 아우를 수 있기를 바란다. ‘키워드로 보는 기후변화와 생태계’는 ... ...
- 수학 유전자를 찾아라! 아인슈타인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4년 10호
- 가졌다고 말했다.우생학자★사람을 유전학적으로 우수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구분한 뒤, 우수한 유전자를 가진 사람의 수를 늘리기 위해 유전학을 연구하는 사람을 일컫는다.인간 게놈 프로젝트★사람의 유전체에 있는 약 30억 개의 염기쌍의 순서를 밝히는 프로젝트로, 연구결과는 2000년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개발을 법적으로 금지해야 한다”고 강경하게 주장했다.로봇은 아직 장난감 총과 진짜를 구분 못한다논란의 핵심은 로봇이 사람에게 총을 쏘는 걸 판단할 만큼 충분히 똑똑하거나 윤리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킬러로봇이 아이와 어른 여부, 총을 들었는지 여부, 군복을 입었는지 여부 ... ...
- 엘라티오르베고니아 VS 장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친구 집에 갔더니 화분에 예쁜 장미꽃이 피어서 “장미꽃이다”하고 달려갔어요. 그런데 친구 어머님이 장미가 아니고 ‘엘라티오르베고니아’라는 거예요. 장미랑 똑같이 ... 18세기 이후에 많은 품종이 만들어져 18세기 이전의 장미를 고대장미, 이후를 현대장미라고 구분하기도 해요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