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미국은 왜 북한을 지목했나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나쁜 놈, 안 쏘면 좋은 놈 이었다. 사이버 전쟁은 총알 못지않은 공격이 오가지 만 적을 구분해내기 쉽지 않다. 또 배신도 그만큼 쉬 워져서 누구 하나 믿기 힘들다. 언제 우리나라가 공격 대상이 될지 모른다. 이미 몇 번이나 북한에게 당하지 않았는가. 중국의 국유기업인 차이나 유니콤의 망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패턴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수십 년 이상 숙련된 분류학자가 아니면 다른 종으로 잘못 구분하기 딱 좋다”고 말했다.지의류는 지구의 거의 모든 지역에 살고 있다. 극지에서도 살고 고산지역에서도 산다. 온도가 맞지 않거나 건조한 환경에서 지의류는 체내의 수분을 빠르게 배출해 열이나 동결 ... ...
- 뜨거운 태양이 연구실에? 인공태양 케이스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박사님으로부터 그 역할에 대한 설명을 들었어요.“케이스타는 크게 다섯 가지 시설로 구분할 수 있어요. 가장 가운데 플라스마를 가두는 토카막주 장치와 토카막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 펌프, 초전도체 자석의 온도를 내리는 헬륨 분배 장치, 토카막 내부의 온도를 높이는 세 개의 가열 ... ...
- [과학뉴스]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단맛 같은 너 앞서 말했듯 단맛의 천적은 쓴맛이다. 그런데 외외로 단맛과 쓴맛 물질은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비슷하게 생겼다. 심지어 같은 물질이 단맛과 쓴맛을 오가는 경우도 많다. 설탕보다 1000배 더 달다는 사카린이 대표적이다.사카린은 자신의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할로겐 원소에 따라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쉽게 탐구해 볼 수 있는 도구가 뜨개질 모형이다. 뜨개질로 만든 쌍곡 기하학 평면 위에 구분할 수 있는 다른 색깔의 실로 삼각형을 표시하고, 이 모형을 이리저리 구부리고 접어 보면서 삼각형의 특성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뜨개질로 직접 보는 위상동형뜨개질을 활용하면 어려운 도형 개념을 ... ...
- 점심 먹고 돌아서면 저녁 준비해야 하는 내온동물의 삶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안에 사는 곤충은 1년 내내 체온의 변화가 거의 없지요. 그래서 내온동물과 외온동물로 구분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답니다.외온동물은 필요한 열을 주로 외부에서 얻어요. 그래서 대부분 낮은 온도에서는 활동할 수 없어요. 이에 비해 내온동물은 대사과정에서 발생한 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주변 ... ...
- 사람을 닮고 싶은 로봇의 꿈 인조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눈치 빠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어요. 이를 위해서 사람의 표정을 2000여 개로 자세히 구분했지요. 한편 MIT 감성컴퓨팅연구소 연구팀은 심장 박동수나 호르몬 수치를 재거나, 마우스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해 감정을 읽는 방법도 연구하고 있어요.손님을 대하거나 환자를 돌보는 인조인간은 특히 ... ...
- 탐사 ➌ 삼엽충과 공룡은 서로를 알지 못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구분하는 것처럼 당시 생물들도 자기들끼리 시간을 나누어 썼을까요? 아쉽게도(?) 시대 구분은 사람들이 한 거예요. 암석에 새겨진 지각운동의 흔적과 생물들이 남긴 화석을 바탕으로요.이때 시대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기준점을 세워요. 예를 들어 고생대 캄브리아기의 시작점은 삼엽충 화석이 처음 ... ...
- 카멜레온 VS 도마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70cm에 이르는 아주 큰 종까지 매우 다양하지요. 도마뱀과 비교했을 때는 머리와 몸통의 구분이 확실하고 눈알이 튀어나왔으며, 발이 경첩처럼 생겨서 나뭇가지에 매달리기 수월해요. 주로 낮에 활동하고, 먹이로는 곤충을 잡아먹지요. 카멜레온은 자기 몸보다 최대 두 배까지 긴 혀를 휘둘러서 ... ...
- 도전! 오디션 스타 음치, 박치도 깜짝 놀랄 노래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음이 낮아지지. 성대 길이는 성인 남성의 경우 평균 2.4cm, 여성은 1.7cm, 어린이는 남녀 구분 없이 0.9~1.2cm 정도야. 그래서 여성과 어린이가 남성보다 더 높은 목소리를 내는 거란다.음역에 맞지 않는 높은 음을 억지로 내면 성대가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돼. 보통 본인이 낼 수 있는 가장 낮은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