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금수저’ 색안경 벗겨낸 노력파 세르게이 볼코프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선수들이나 다른 유명인들이 힘들지만 가장 빛날 때 떠난다고 말하는 것처럼, 열정과 에너지를 모두 쏟아 부었기에 그 결과에 만족하고 떠나기로 했다”며 “우주 비행을 기다리는 후배들에게 기회를 더 주고 싶기도 했다”고 말했다. 보통 첫 비행까지 10~15년을 기다리는데, 그 시간이 얼마나 ... ...
- [이투스의 입시정보] 전기전자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기간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기본 공학 전기전자공학부에서는 전기에너지의 생산, 수송 및 변환, 반도체 소자와 컴퓨터를 계측기화 할 수 있는 각종 컴퓨터 언어와 하드웨어, 그리고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 시스템 설계, VHDL 및 VLSI설계,시스템의 자동계측, 자동화, 디지털통신 기술 및 영상 ... ...
- [지구사랑탐사대] 매미 연구로 최우수상 탔어요! 매벤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최우수상을 받은 거예요! 라이노비틀즈 팀의 곽수진, 꿈꾸는지구 팀의 김신혜, 파워에너지 팀의 이태경, 이태규 대원들이 주인공이지요! ‘매벤져스’라는 팀으로 활약한 친구들의 수상 비결을 들어 볼까요?! 매미는 기후 변화를 알리는 영웅! “탐사를 하면서 매미는 기후변화를 알리기 위해 ... ...
- Part 2. 특징 - 뇌가 크면 인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걷기 시작했을까요? 과학자들은 먼 거리를 이동할 때, 네 발보다는 두 발로 걷는 것이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먹이를 찾아 오랫동안 이동하는 데 직립보행이 더 편했을 것이라고 과학자들은 추측하고 있답니다. 도구를 사용하면 인간? 그렇다면 ‘도구의 사용’은 어떨까요?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2 조용한 겨울의 살인마 일산화탄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필수적인 요소다. 탄소를 포함한 가연성 물질이 공기 중에서 산소를 만나 연소하면서 열에너지를 내뿜고, 탄소는 이산화탄소로 바뀐다. 하지만 산소가 많지 않다면 연소는 불완전하게 이뤄진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대신 ‘조용한 살인마’ 일산화탄소(CO)가 배출된다. 2018년 12월 18일 ...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표면도 오랜 기간 우주 풍화를 겪은 것으로 보인다. 태양계 천체들은 태양풍이라는 고에너지 입자에 부딪쳐 표면이 붉게 변하는 우주 풍화 현상을 겪는데, 이를 이용하면 천체의 구성 성분이나 생성 시기 등을 추정할 수 있다. 김 선임연구원은 “뉴호라이즌스호에는 분광기와 온도 측정 장비,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우연이 만든 혁명 유기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데 태양광의 2~30%만 흡수할 정도로 전기 생산 효율(2~3%)이 낮았습니다. 필자가 속한 UNIST 에너지공학과 연구팀은 태양광의 사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2009년부터 다양한 고분자 유기물을 합성해왔습니다. 최근 태양광 흡수율이 높은(7~80%) 고분자 유기물을 개발해 전기 생산효율이 12%로 높은 태양전지를 ... ...
- [이달의 PICK] 삼겹살 기름으로 화력 발전? 석유 대신할 바이오중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발표한 2017년 바이오중유 발전량은 1451기가와트시(GWh)다. 이는 2017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의 4.4%를 차지한다. 국내 총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2% 정도다. 김 책임연구원은 “그동안은 발전사별로 지정된 중유발전기 다섯기에만 바이오중유를 대체 연료로 사용했다”며 “전면보급이 ... ...
- Part 5. 전문가에게 물었다 제2의 달 탐사 경쟁, 한국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달의 토양을 소결시킨다. 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달 토양 입자에 강한 에너지를 가하면 열적 활성화가 일어나며 달 토양 입자가 덩어리로 굳는다. 달 먼지가 날리지 않는 발사대를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기술이다. 둘째는 달 토양을 소결시키는 과정에서 입자에 섞인 헬륨3 같은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촉각 신경 구현 서울대 재료공학부의 연구 분야는 크게 재료과학, 구조재료, 전자재료, 에너지·환경재료, 바이오 및 소프트 재료 등 5가지로 나뉜다. 각 분야에 걸쳐 43명의 교수진이 포진해 있다. 주 학부장은 “재료공학 전공뿐만 아니라, 물리학, 전자공학, 화학공학 등 다양한 분야를 전공한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