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실크로드 다리 위를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와~, 내가 아시아를 다녀온 뒤 항로가 개척되면서 실크로드가 많이 변해 왔구나. 아무리 그래도 육로로 지나가는 것만 하겠어? 나 때는 말이야…, 배를 타지 않고도 잘 다녔다고. 엇? 요즘은 배를 타지 않고도 바다를 건너갈 수 있다고? 사장교 | 강주아오 대교의 세 군데에 사장교 구간이 있다. 먼저 ...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아무리 다리와 터널을 통해 대륙을 이동할 수 있다고 해도 배를 이용해야 많은 물건을 한번에 멀리까지 옮길 수 있을 걸? 나 때는 말이야…, 커다란 배가 최고의 화물선이었다구. 저기 봐! 아직도 배에 화물을 잔뜩 싣고 가잖…, 어? 저 배엔 왜 사람이 없지? 탄소 배출량 제로, ‘야라 버클랜드’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배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얻던 기존의 방법보다 지구를 오염시키지 않을 수 있어요. 또 똥과 오줌으로 전기 에너지를 만드는 방법도 있어요. 농촌진흥청은 지난 달 소의 똥으로 전기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지요. 미생물이 들어있는 연료전지에 가루로 만든 소 똥을 넣으면, 미생물이 이 똥을 먹고 소화하는 과정에서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세계의 모든 것을 파악하고 분석해서 설명할 수 있어요. 왜냐하면 이 세계는 입자, 파동, 에너지 등 측정할 수 있는 것들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매리처럼 자연과학의 모든 것을 알게 된다면, 모든 현상을 지식으로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을 거예요. 만약 설명하지 못하는 것이 있다면 ... ...
- 노벨화학상, 생물로 단백질 공장을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있는 소화 효소 아밀라아제가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이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만드는 일부터 유전자 복제까지 우리 몸 안에서 벌어지는 대부분의 화학반응에 효소가 관여하고 있답니다. 그래서 생명체가 진화하는 과정에서 효소도 함께 진화해 왔어요. 예를 들어 코알라는 오랜 ... ...
- [실전!반려동물] 어린 댕댕이는 사회에 적응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함께 뛰어 놀며 해도 되는 것과 하지 말아야 하는 것들을 자연스레 배우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얻기도 한답니다. 비슷한 연령대의 강아지를 친구 삼아 자주 만나도록 해 주되, 반려견이 다른 강아지를 만나면서 스트레스를 받진 않는지 확인해 보세요. 매번 과도하게 헉헉거리고 으르렁대거나, ... ...
- 우리가 몰랐던 여성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이런 원소들의 원자핵에 양성자나 중성자를 쏘면, 더 작은 원자핵으로 갈라지면서 큰 에너지를 방출하죠. 이런 현상을 ‘핵분열’이라고 해요. 1939년,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리제 마이트너는 핵분열의 원리를 발견했어요. 그는 독일의 화학자 오토 한, 프리츠 슈트라스만과 함께 연구하던 도중 ... ...
- 노벨물리학상, 빛으로 도구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교수는 우선 펄스 폭이 매우 짧은 레이저의 펄스 폭을 늘려주었어요. 그러면 빛의 총 에너지량은 같지만 순간 세기는 작아져 증폭기를 통과시킬 수 있거든요. 이후 다시 레이저 펄스 폭을 압축시키자 펄스의 길이는 짧지만 세기는 훨씬 더 강해진 레이저를 얻을 수 있었답니다. CPA가 등장한 이후 ... ...
- 뜨거워지는 바다, 강력해지는 태풍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문제는 태풍이 더 먼 거리를 이동하는 거예요. 태풍은 수온이 낮은 바다를 지나면 열에너지를 빼앗겨 급격하게 위력이 줄어요. 그런데 지구온난화로 바다 수온이 높아지면 태풍의 위력이 덜 줄어들기 때문에 이전보다 더 먼 거리까지 파괴력을 유지한채 이동해요. 즉, 피해 지역을 넓힐 수 있는 ... ...
- [지구사랑탐사대] 숲속 개미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질문들을 했답니다. Q 왜 단 음식에 개미가 꼬이나요?“당분은 개미가 활동을 할 때 에너지원으로 꼭 필요한 성분이에요. 그래서 단 것을 열심히 먹는 거예요. 또한 개미는 단 음식 말고도 곤충이나 동물처럼 다양한 음식을 먹어요. 알을 낳을 때 단백질 성분도 필요하거든요.” Q 문방구에서 산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