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컵에 담겨 있는 건 물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아니면 아예 머릿속도, 물질도 아닌 다른 곳에 있는 걸까요? 그렇다면 세계가 물질이나 에너지만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기존의 생각이 잘못된 건 아닐까요 ... ...
- 바닷가 식물에 숨겨진 탄소 저장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이용해 이산화탄소에 들어있는 탄소를 분리하고, 이것으로 영양분을 만들어 에너지를 얻거나 세포를 구성하는 분자를 만들지요.이렇게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영양분으로 만드는 과정을 ‘탄소 고정’이라고 해요. 뿌리부터 줄기까지, 식물의 몸 대부분은 공기 중에서 온 탄소 원자로 ... ...
- [실전! 반려동물] 해피가 저를 떠나려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감소해요. 이때 이전과 똑같은 양의 먹이를 주면 과체중이 될 수 있어요. 사용하고 남은 에너지원이 몸에 축적되면서 점점 지방이 쌓이고, 당뇨나 심장병, 관절염 등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에 걸리기 쉽지요. 따라서 반려견이 한 번에 많이 먹는 걸 막기 위해 여러 번에 걸쳐 조금씩 사료를 나눠주는 ... ...
- [과학뉴스] 최초의 태양 탐사선 파커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수백 만℃를 넘지만 파커에 가해지는 열은 1400℃ 정도에 불과해요. 태양 대기 바깥층은 열에너지를 옮겨줄 기체 입자가 별로 없거든요. 파커의 몸체에도 열을 식혀 주는 냉각수가 있어 내부는 30℃ 안팎을 유지할 거랍니다.이처럼 뜨거운 온도를 견디는 파커는 7년 동안 태양을 24차례 돈 뒤 2024~202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반짝반짝 결정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규칙적이기 때문에 입자들 사이에 잡아당기는 힘도 균일하고 이를 끊는 데 필요한 에너지도 일정해 녹는점이 일정하다는 특징이 있지요. 하지만 모든 고체가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는 건 아니에요. 고체를 이루는 원자나 이온의 배열에 규칙이 없는 ‘비결정성 물질’도 있어요. 유리, 고무,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슬아슬 전선 위의 미션 블랙아웃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두었던 전기를 공급할 수 있지요.실제로 지난 2월부터 서울시 중랑물재생센터는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를 설치해 사용하고 있어요. 이곳에 만들어진 장치는 지상 2층짜리 건물로, 밤 동안 18MWh의 전기를 저장하고 낮에는 하수를 처리하는 시설을 돌리는 데 사용하고 있지요. 전기차나 수소차도 ... ...
- [과학뉴스]아인슈타인의 예측, 초거대 블랙홀에서도 맞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현상을 관측하기도 했어요. 중력 적색편이는 빛이 강력한 중력의 영향에서 벗어날 때 에너지를 잃어 파장이 길어지는 현상을 뜻해요.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파장이 길수록 빛이 붉게 보이기 때문에 적색편이라고 부르지요. 연구팀은 “S2를 통해 초대형 블랙홀 주변에서도 일반 상대성이론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 같은 전하를 띤 물체는 밀어낸다(척력)는 거예요. 그리고 전하를 띤 입자가 이동하면 에너지가 생긴다는 것도 알게 되었지요. 길버트는 이 현상에 그리스어 ‘호박(elektron)’에서 유래한 ‘전기(electricity)’라는 이름을 붙였답니다. 밤 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날을 ‘열대야’라고 해요. 여름이 ... ...
- Part 3. 구름 위의 폭풍을 쫓는다! 스톰 헌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Transient Luminous Events)’이라고도 불려요. TLE는 지구 대기층을 이루는 기체 원자에 갑자기 에너지가 들어가면 원자가 빛을 내는 현상이지요. 따라서 어떤 기체 원자가 만들어내는 빛인지에 따라 TLE의 색깔이 달라져요. 산소가 많은 높이 50km 아래층에서 만들어지는 TLE는 주로 푸른 빛을, 질소가 많은 그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않고 광섬유 내부에서만 반사가 일어나요. 이를 ‘전반사’라고 하지요. 이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없어서 아무리 먼 곳이라도 신호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어요. 광케이블의 두께는 69mm, 무게는 m당 10kg 정도예요. 바닷물에 젖지 않으면서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여러겹의 다른 물질로 둘러싸 보호하고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