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한눈에 익히는 삼각함수와 음성 인식 AI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음향모델은 각 음소에 대한 음성 신호가 어떻게 생겼는지를 모아놓은 데이터입니다. 예를 들어 ‘ㅏ’라는 음소를 발음할 때 어떤 모양의 음성 신호가 나타나는지를 학습하는 식이죠. 두 번째로는 발음사전을 이용해 음소를 단어로 조립하면서 ‘날씨’ 같은 단어가 어떻게 발음되는지를 ... ...
- [게임 디자인 씽킹]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게임의 가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고대 이집트에서 게임은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을 대변했습니다. 현재는 과학자와 예술가, 인문학자, 심리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힘을 합해 수학 학습부터 질병 치료까지 다양한 목적을 위해 게임을 개발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세상에 유익한 게임을 만든다면 어떤 게임을 만들고 싶나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태양풍의 비밀을 밝혀 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이 지난 2010년에 발사한 태양 활동 관측 위성(SDO, Solar Dynamics Observatory)으로 관측한 자료예요. SDO에는 가시광선과 자외선, 극자외선 등 여러 파장을 통해 태양을 촬영할 수 있는 탐사 장비와 도구가 탑재돼 있어 가시광선으로는 볼 수 없었던 채층과 코로나, 흑점 등 다양한 태양 활동을 관측할 수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첩첩산중 강원도가 원래는 열대 바다였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현재의 지질 활동을 추적하면 과거의 모습을 추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래의 모습도 예측할 수 있어요. 1974년 캐나다의 지질학자 존 투조 윌슨은 태평양 같은 큰 바다 양쪽의 대륙이 새로 생겼다가 사라지는 현상이 반복된다는 ‘윌슨의 윤회설’을 발표했어요. 이 이론은 나중에 지구의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 아나운서가 꿈? 인공지능에게 맡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인공지능이 자신만의 음성인식 모델을 만들려면 녹음된 여러 개의 목소리가 필요해요. 예를 들어 ‘강낭콩’이라는 말을 인공지능이 학습하게 하고 싶다면, 다양한 방식으로 ‘강낭콩’이라고 말하는 녹음 파일의 파형*을 준비한 뒤, 인공지능에게 ‘이렇게 생긴 파형이 ‘강낭콩’의 ... ...
- 음료,음료, 음료...이 중 어떤 음료수를 선택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설명하는 작업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포털 사이트에서는 제대로 제공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A사 온라인 쇼핑몰에서 ‘인기품목 특가’라고 적힌 배너의 대체 텍스트는 ‘오른쪽 배너’로 뜬다. 이것만으로는 내용을 전혀 알 수 없다. 상품 사진도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 ...
- [논문탐독] 자연에 한층 가까워진 움직임 소프트 로봇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아바쿠스(Abaqus)’에 대입해 공압에 따라 재료가 어떻게 변하는지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몰드를 만들어 뉴넷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현재 뉴넷은 단순히 꺾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얇은 판 형태를 말 안장이나 얼굴 형태같이 복잡한 구조로 바꾸는 것 처럼 세밀한 ... ...
- [특집] 너의 목소리가 들려~! 음성 인식 AI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말을 이해하지만, 음성 인식 AI가 음성 신호를 이해하려면 특별한 과정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친구가 ‘수학’이라는 단어를 말하면 ‘수학’이라는 음성 신호에 포함된 다양한 주파수의 신호들을 귓속 달팽이관에 있는 신경세포들이 자동으로 인식해 그 말을 바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 ...
- [기획] 페로몬만 믿고 따라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알려진 반면, 페로몬의 반감기는 종류에 따라 다르며, 환경에 따라서도 변합니다. 그 예로 기온 28℃, 습도 30%의 환경에서 애집개미의 페로몬 반감기는 플라스틱 위에서 약 9분, 종이 위에서 약 3분입니다. 표면 성질에 따라 증발 속도가 다른 것과 같이 여러 상황에 따라 개미는 다른 종류와 양의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 인공지능이 심판 본다! 청기백기 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신체 부위의 위치와 움직임을 분석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실생활에도 사용되고 있어요. 예를 들어, 스포츠에서는 운동 선수의 모습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자세 데이터’를 얻고 훈련에 활용해요. 축구선수 손흥민처럼 축구공을 강하고 정확하게 차는 선수의 자세 데이터를 얻으면, 두 다리의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