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요구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바람직하다. 이번에 문제가 된 이루다는 수많은 사람과 예측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대화형 AI로, 이런 AI에 대해서는 공정성에 대한 요구가 강해질 수밖에 없다.하지만 이렇게 분명히 공정해야 할 AI조차 고려해야 할 사안이 많고 복잡하다. 요구되는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일반적인 암 진단 방법인 조직검사를 대신할 수 있는 액체 생검 질량분석법을 개발했다. 예를 들어 폐암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외과적인 수술로 폐 조직 일부를 떼어내야 한다. 하지만 조직검사는 환자들이 일상적으로 받기 어려워 암을 초기에 진단하는 데 한계가 있다. 김 교수는 이 문제를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 인공지능이 심판 본다! 청기백기 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신체 부위의 위치와 움직임을 분석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실생활에도 사용되고 있어요. 예를 들어, 스포츠에서는 운동 선수의 모습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자세 데이터’를 얻고 훈련에 활용해요. 축구선수 손흥민처럼 축구공을 강하고 정확하게 차는 선수의 자세 데이터를 얻으면, 두 다리의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조난당하는 장면이 나와요. 위성의 수가 늘어나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에요. 예를 들어 국제우주정거장과 같은 저궤도 위성은 무려 시속 27000km의 속도로 이동해요. 만일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작은 파편이 떨어져 나온다면 매우 큰 위협이 될 수 있어요. 물체는 자신이 운동하던 방향대로 ... ...
- [매스미디어] 듣도보도 못한 놈들의 우주 청소가 시작된다! 승리호수학동아 l2021년 03호
- e는 영어, f는 한국어 단어의 집합이다. 이때, 한 단어에도 뜻이 여러 개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국어의 ‘눈’은 영어로 ‘snow’나 ‘eye’로 번역할 수 있다. AI는 확률분포함수를 계산해 문맥에 맞을 확률이 더 높은 단어로 번역한다.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가 운영하는 인터넷전화서비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단위원에 있는 복소수를 어떻게 곱하든 단위원에 있는 다른 복소수가 되는 것이죠.예를 들어 i×(-1)=-i는 90° 회전과 180° 회전을 더한 것이 270° 회전과 같다는 의미입니다. 단위원군에서의 곱셈은 각도의 덧셈으로 볼 수 있죠. 이렇듯 절댓값이 1인 복소수들의 곱셈은 원의 대칭이동에서 각도를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맞붙어서 고양이를 우주의 먼지가 되도록 완전히 산산히 분해해 버리는 모습을 보여 줄 예정이었다. 그 철저한 승리의 모습을 보여준다면 모든 우리우리스 종족이 우리우리스 종족 스스로의 우월함을 깊게 신봉하면서 다시 한 마음 한 뜻으로 뭉칠 수 있을 것이다.3차전을 준비하면서 우리우리스 ... ...
- [수콤달콤 연구원의 비법노트] 모으고 가르다 보면 더하고 빼기가 쉬워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를 모으고 갈라요!이번에는 조금 더 큰 수를 가지고 모으기와 가르기를 해볼까요? 예를 들어 ‘53-26’을 한다면 아래와 같이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답니다. 53을 40과 13으로 가르거나 40과 10, 3으로 가르고, 이를 ‘다시 묶음 짓기’를 할 수 있어요. 이처럼 수를 다양한 방법으로 모으고 ... ...
- [똥손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평범함은 거부한다! 10면 주사위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정사면체는 모든 면이 똑같이 생겼고, 모든 꼭짓점에 모이는 면의 수가 항상 3개예요.정사면체 주사위처럼 주사위의 각 면이 나올 가능성이 모두 같은 주사위를 ‘공정한 주사위ʼ라고 해요. 공정한 주사위가 되려면 주사위의 모든 면이 똑같이 생겨야 해요. 따라서 정육면체, 정팔면체와 같은 ... ...
- [JOB터뷰] 행복한 동물의 집을 짓는다! 마승애 수의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있어요. 동물이 다치는 것보다 슬픈 게 죽는 거고, 죽는 것보다 슬픈 게 멸종하는 거예요. 야생동물 한 마리를 살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저는 야생동물의 멸종을 막기 위해 서식지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일에 힘쓰고 싶어요. 새를 몇 마리 구조해도 아파트가 하나 들어서면 수천 마리가 죽거든요.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