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사과와 오렌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질문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동그란 형태인지 아닌지’라는 질문은 사과와 오렌지 둘 다 동그랗기 때문에 불필요한 질문입니다. 빠르고 효율적인 이미지 인식 시스템을 만들려면 다차원 공간에 있는 행렬 데이터들을 다양한 ... ...
- [기획] 램지 수가 뭐길래 수학 난제로 불리지?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높은 쪽 경곗값인 ‘상한’을 낮추면 정확한 램지 수에 좀 더 가까워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R(3,3)=6이라는 것은 R(3,3)이 6보다 작거나 같고 5보다는 크다는 연구 결과를 종합해 얻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수학자들은 R(t,t)처럼 r과 s가 같은 경우로 좁히거나, R(3,t)와 같이 두 변수 중 하나를 고정해 ... ...
- [기획] 다양한 색으로 칠해 보자, 다색 램지 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계산한 확률이 0보다 크면 부분 완전그래프가 없도록 칠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구체적인 예를 구하지 않아도 부분 완전그래프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어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 구하는 방식에 비해 훨씬 효과적입니다. 이 방법으로 에르되시는 램지 수가 존재할 범위의 최솟값인 하한을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코사인이라는 개념을 활용해서 두 벡터가 나타내는 좌표 사이의 각도를 계산하는 거예요. 각도가 작으면 두 벡터를 유사하다고 볼 수 있고, 각도가 크면 관련이 적다고 볼 수 있죠. 이런 방식으로 발언의 유사도를 추정할 수 있는 겁니다. 이처럼 강 교수님은 행렬을 비롯해 여러 수학 지식을 활용해 ... ...
- 폴리매스 정보통! 모두가 푹 빠진 폴리매스미궁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소식을 전해줄게. 새학기가 시작되는 3월에는 폴리매스 미궁에 보너스 문제가 추가될 예정이라고 해. 이미 폴리매스 미궁을 즐긴 친구들은 보너스 문제를 풀고, 아직 폴리매스 미궁을 모르는 같은 반 친구에게 알려줘도 좋겠지? 새로운 미궁을 제작했다면 폴리매스 잡담방에도 남겨주고 말이야~. ...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교수는 스페리 교수의 가설보다 더 복잡한 형태의 회피기작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예를 들면 안내 신호의 유무뿐만 아니라 농도 변화까지 인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 몸이 움직임이나 속도뿐만 아니라 속도가 변하는 정도인 가속도까지 감지할 수 있는 것과 비슷합니다.연구팀은 이를 ... ...
- [JOB터뷰] 행복한 동물의 집을 짓는다! 마승애 수의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있어요. 동물이 다치는 것보다 슬픈 게 죽는 거고, 죽는 것보다 슬픈 게 멸종하는 거예요. 야생동물 한 마리를 살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저는 야생동물의 멸종을 막기 위해 서식지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일에 힘쓰고 싶어요. 새를 몇 마리 구조해도 아파트가 하나 들어서면 수천 마리가 죽거든요. ... ...
- [매스미디어] 음악과 함께 떠나는 영혼들의 여행, 소울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특권 중 하나는 문제를 해결하거나 답을 찾을 때 혼자 고군분투할 필요가 없다는 거예요. 동료들과도 쉽게 답을 찾지 못하는 새로운 문제를 만날 때는 잠깐 산책을 나가 신선한 공기를 마시면서 새로운 시각을 얻으려고 노력해요. Q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무엇인가요?조와 22가 재즈바 앞에서 ... ...
- [이달의 우주 날씨] 보름달아, 내 소원을 들어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시기입니다. 그리고 설이 지나고 정월 대보름이 되면 음력으로 새해 첫 보름달이 뜹니다. 예부터 우리나라는 이날 다양한 행사를 하며 한 해의 복을 기원했어요. 그런데 ‘대보름’이라는 이름처럼 이날 실제로 평소보다 큰 보름달이 뜰까요? 답은 ‘정해져 있지 않다’입니다. 달의 크기는 ... ...
- [KAIST 50년]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예전보다 학내 동아리의 수는 더 늘어나고 다양해졌지만, 동아리를 통해 얻는 즐거움은 예나 지금이나 같지 않을까.딸기파티도 빼놓을 수 없는 경험이다. 신입생들이 학교 정취에 익숙해질 때쯤 도서관 앞 잔디밭은 딸기파티를 준비하는 학생들로 북적거린다. 흔히 ‘딸파’라고 줄여 부르는데 199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