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회의주의자들의 사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소개하는 ‘회의주의자들의 사전’에서 ‘버뮤다 삼각지대’를 읽어보기 바란다.
미국
의 한 대학 철학과 교수가 운영하고 있는 이 사이트의 매력 중 하나는 한글로 번역된 홈페이지가 있어 언어장벽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한글 홈페이지는 대체의학에 관심있는 한 직장인이 번역해 ... ...
지구촌, 여성 과학자 우대 바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봉급에서도 차이가 크다.과학자 최고의 영예로 꼽히는 과학아카데미 회원을 보면
미국
의 경우 1천9백4명 가운데 1백18명만이 여성이고, 영국은 1천1백85명 중 43명, 프랑스는 1백90명 중 9명에 불과하다. 한국에서는 4백66명 중 여성이 8명뿐이다.노벨상의 여성 차별도 매우 심하다. 7백20명의 역대 노벨상 ... ...
수천종 미생물 게놈 한꺼번에 분석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분석한 뒤 역으로 개별 미생물의 게놈을 찾는데 성공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의 질리언 밴필드 박사팀은 캘리포니아주의 버려진 철광산에서 오수를 채취해 메타게놈을 분석했다. 여기서 서로 연관되는 유전자를 분리해 5종의 미생물 게놈을 다시 찾아냈다. 이 ... ...
우주에 피어난 고흐의 명작 '별이 빛나는 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미친 듯이 너울거리는 밤하늘에 소용돌이치는 별빛이 대담하게 표현된 점이 인상적이다.
미국
의 돈 맥클린이 부른 팝송 ‘빈센트’에 가사로 등장할 정도로 유명한 ‘별이 빛나는 밤’(Starry Night).우주에도 고흐의 이 명작을 닮은 현상이 있다면 믿을 수 있을까. 지난 3월 4일 미항공우주국(NASA)은 ... ...
6번째 멸종기 다가오나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통해 토양에 축적된 과도한 양의 질소가 생물종의 20%를 멸종에 이르게 했다는 것.
미국
듀크대의 스튜어트 핌 교수는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연구결과는 그동안 생물 멸종의 심각성을 과소평가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 ...
① 첨단기술 휘날리는 한국영화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영화상 우리시간으로 지난 3월 1일 오전
미국
로스앤젤레스 코닥 극장에서 열린 제76회
미국
영화 예술 및 과학 아카데미상 시상식은 예상대로 ‘반지의 제왕 : 왕의 귀환’의 독무대였다. 작품상과 감독상 등 후보에 오른 11개 부문 중 한 부문도 놓치지 않고 모두 수상하는 기염을 토한 것. 그런데 ... ...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시대의 암석이 공존하는 나라는 그리 많지 않다. 그만큼 한국 지질학자들은 할일도 많다.
미국
텍사스주나 중국 화북평야처럼 한반도보다 넓은 지역이 제3기나 제4기의 짧은 지질시대 동안에 형성된 단일 지층으로 이뤄져 있는 곳도 있다. 시생대부터 존재했다과학동아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 ...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혜의 갯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비해 매우 넓다. 서해 갯벌은 또한 생명체들의 보고이기도 하다. 세계 5대 갯벌 지역은
미국
동부, 캐나다, 중국, 북해 연안, 그리고 우리의 서해다. 이 중에서 생물 다양성 측면을 고려해볼 때 우리 서해가 단연 돋보인다.예를 들어 방조제 공사가 진행중인 새만금에는 최근에도 어류가 약 1백55종, ... ...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들어있는데 이들은 강한 항산화 작용과 항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코넬대 루이하이 리우 교수팀은 8가지 품종의 딸기를 대상으로 항산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 플라보노이드를 많이 함유한 품종이 항산화 특성도 더 컸다고 지난해 ‘농업 및 식품화학저널’에 발표했다. 색이 ... ...
잠은 문제 해결의 마법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학업성취도가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또
미국
일리노이주 학생 2천2백59명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학업성적 사이의 연관관계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잠자는 시간이 적은 학생들의 성적이 중학교 3년 내내 지속적으로 하락했으며 자신감도 많이 결여된 것으로 ... ...
이전
1048
1049
1050
1051
1052
1053
1054
1055
10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