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고교생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시멀리 박사의 이런 주장에 다른 나라의 과학교육가나 영재전문가들도 대체로 공감한다.
미국
과 유럽, 가까운 일본에서는 과학영재의 육성과 함께 청소년 대상의 과학 교육은 이미 보편화돼 있다. 1980년대부터 이공계 기피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이들 나라가 대안으로 내놓은 것이 바로 실험과 ... ...
수소저장 55% 높이는 기술 첫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2천m2보다 수소저장능력이 55%가량 높아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이다.채 교수는 “현재
미국
대기업에서 이 기술을 이용해 휴대전화용 수소 배터리를 개발중”이라고 덧붙였다 ... ...
각국의 최초 우주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도중 추락, 사망했다.미항공우주국(NASA)은 1959년 7인의 우주인 후보를 선정했다. 이들 중
미국
최초의 우주인은 알란 쉐퍼드 해군 소령. 그는 1961년 5월 지구를 반바퀴쯤 도는 15분 간의 탄도비행에 성공했다. 이어 1962년 2월 존 글렌 해병대 중위가 완전한 궤도 비행을 성공했다. 그는 자동비행장치가 ... ...
과학으로 본 얼짱과 몸짱 열풍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그러나 과학자들은 어떤 기준인지 제대로 밝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지난 1993년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과 데벤드라 싱 교수는 본능적으로 정해지는 하나의 기준을 찾아냈다. 싱 교수는 시대에 따라 아름답다고 말하는 몸매의 치수는 계속 변했지만, 허리와 엉덩이의 비율은 항상 0.7대 1로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같은 노력은 나노기술에 투입되는 전체적인 역량에 비해 턱없이 미약한 수준이다.
미국
의 경우 연간 4백만달러, 우리나라 돈으로 40억원을 나노기술의 영향평가에 투자한다고 하면 상당한 지원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올해 초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의 발표에 따르면 나노기술의 연구개발에 ... ...
스팸메일 뿌리뽑는 불가능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메일에 대한 응답률이 0.001%에 불과해도 7%가량 매출을 늘릴 수 있다는 결과를 내놨다.
미국
의 유력일간지 뉴욕타임스도 한 조사결과를 인용해 광고성 메일 1백만통 가운데 10통만 응답이 와도 광고효과가 있는 것으로 봐야한다고 보도했다. 스팸메일이 갖는 경제적 효과는 지능적인 발송기술을 ... ...
50광년 밖 다이아몬드 별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4천km인 다이아몬드 별이 발견됐다.
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의 천문학자들은 내부(핵 부분)가 다이아몬드와 같은 탄소 결정체로 구성된 백색왜성을 발견했다고 2월 13일 발표했다.이 별은 지구에서 50광년 정도 떨어진 켄타우르스자리에 있다. 백색왜성은 태양 정도 크기의 별이 약 ... ...
청소기 돌리면 먼지 더 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사용할 때 공기 중의 작은 먼지가 오히려 증가하기 때문이라는 답을 내놓았다.
미국
스탠포드대 안드레아 페로 박사팀은 가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오염물질 양을 조사해 ‘환경과학과 기술’ 1월 31일자에 발표했다. 조사결과 진공청소기를 돌리는 동안 미세먼지가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
화성사진 색깔 실제와 달라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최근 NASA가 공개한 화성 사진의 색상이 실제와 다르다는 점이 밝혀졌다.지난 2월 10일
미국
‘뉴욕타임스’는 화성마니아들의 주장을 인용해 NASA의 화성 사진 일부에서 탐사로봇에 장착된 색상판이 원래와 다른 색으로 바뀌었다고 보도했다. 즉 파랑판은 분홍색으로, 초록판은 갈색으로 각각 ... ...
미래에너지 수소 생산에 원자력이 돌파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문제해결 능력을 갖는 원자로인 CP-1300을 개발한 바도 있다. 이 신형원자로는 한국은 물론
미국
에서도 특허를 받았다.지난해 KAIST로 부임한지 20년이 된 노 교수는 그동안 원자력 분야에서 첨단기술의 도입에 앞장서 왔다. 그동안 배출한 인재만도 석사 65명, 박사 21명. 현재연구실은 석사과정 3명, ... ...
이전
1051
1052
1053
1054
1055
1056
1057
1058
10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