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97건 검색되었습니다.
1000조분의 1초 단위로 나노입자 움직임 찍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원자 수준의 구조를 관찰하는 분석하는 원천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
학술
지 ‘매터(Matter)’ 7일자에 발표된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기초과학연구원(IBS), 삼성종합기술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
박호석 성대 교수 8월의 과학기술인상…‘포스포린’의 에너지 저장 가능성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충방전 후에도 약 91%의 용량을 유지하는 안정성을 보였다. 연구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머티리얼스(Nature Materials)’에 게재됐다. 박호석 교수는 “배터리 소재로만 알려졌던 흑린의 슈퍼 커패시터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에너지 저장 소재로 가능성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 ...
남쪽으로 날아가던 제왕나비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9.08.07
자란 제왕나비는 남쪽으로 이주하는 야생 제왕나비의 습성을 잃어버린다고 국제
학술
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6월 24일자에 발표했다. 제왕나비는 번식기에 접어들기 전 떼를 지어 월동을 위해 남쪽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최근 자연 서식지가 파괴되고 제왕나비 개체수가 감소하면서 ... ...
심정지 후 소생해도 '골든타임 4분' 지켜야 건강한 생활 가능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6
중앙대병원 연구팀은 심정지로 인한 급성 신장손상이 발생하더라도 환자를 치료해 회복시키면 생존율이 8배나 높아진다는 사실을 최초로 알아냈다. ... 포기하지 않고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크리티컬 케어' 7월 15일자에 발표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
2019.08.06
둔감해진다. 타닌산과 결합하는 침단백질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픽사베이 제공
학술
지 ‘화학감각’ 6월호에는 쓴맛에 자주 노출될 경우 쓴맛에 둔감해지는 현상이 침의 단백질 조성 변화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술이나 커피를 처음 맛본 사람(보통 어린이)은 쓴맛에 얼굴을 ... ...
"올해 7월 역사상 가장 더웠다"…14일간 빙하 8억t 녹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8.06
도시 27곳에 대해 온도와 사망률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결과 기온이 1.5도 높아질 때마다 인구 100만명당 104~130명이, 2.0도 높아질 때마다 인구 100만명 당 137~170명이 온열질환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한국인 23만4000명 유전체와 질병이력 연구실에서 받아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6
혈액, DNA 등 2000여 개 항목에 대한 자료를 수집했다. 이 자료를 기반으로 연구해 국내외
학술
지에 실린 논문만 1000편이 넘는다. 지금까지는 이 자료를 이용하려면 충북 청주시 오송에 있는 질병관리본부까지 직접 방문해야 해 번거로운 점이 많았다. 이번에 문을 연 서비스는 연구자가 개인 ... ...
동물실험 대체할까…깜빡임까지 재현한 '눈 모사칩' 개발
연합뉴스
l
2019.08.06
'블링킹 아이온어칩'(blinking Eye-on-a-chip)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 5일자)에 실렸다. 블링킹 아이온어칩. Jeongyun Seo and Dongeun Huh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제공 연구진은 각막과 결막을 구성하는 조직의 구조와 환경을 분석해 이들을 칩 위에 ... ...
그래핀과 레이저로 생체 샘플 질량분석 간편화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6
기술을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화학 및 나노기술 분야 국제
학술
지 ‘ACS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 인터페이스(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7월 31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
골수에서 태어난 조혈모세포 이동 과정 규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6
골수에서 말초로 이동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찾아내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DNA가 감싸고 있는 히스톤 단백질이 메틸화, 유비퀴틴화 등으로 변형된 폴리콤 단백질에 주목했다. 조혈모세포가 골수 내에서 자리를 잡으려면 세포 ... ...
이전
1051
1052
1053
1054
1055
1056
1057
1058
10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