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99건 검색되었습니다.
면역세포 공격 유도 단백질 '스팅' 암세포 주변 비정상적인 혈관도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새로운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클리니컬 인베스티게이션 저널’ 지난 25일자에 발표됐다. 면역항암제에 전혀 반응이 없는 암에서도 스팅 작용제를 포함한 삼중 병용 치료를 할 경우 약 60%의 개체에서 암이 완전 소실된다. 이는 스팅 ... ...
값싼 메탄 고부가가치 에틸렌으로 바꿔주는 촉매, 노트북으로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함형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수소·연료전지연구단 책임연구원(왼쪽)과 하정명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오른쪽), 임서연 박사과정생 공동연구 ... KIST 청정에너지연구센터 박사과정생이 제1저자로 참여한 연구결과는 이달 10일 국제
학술
지 ‘저널 오브 카탈리시스’에 실렸다 ... ...
만성요통 환자 자극선별 세포와 통증감각 처리 뇌 영역 유독 발달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요통 환자의 허리통증이 심할수록 현출성 네트워크의 대표적 영역인 앞뇌섬 피질과 일차체성감각피질 간의 기능적 연결성이 크게 증가했다. 한의학연 제공 한국 ... 유효성과 기전을 과학적으로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페인’ 7월호에 발표됐다. ... ...
수소 투과도 99% 정밀하게 측정하는 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분리막 소재를 개발하는 데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멤브레인 사이언스 저널’ 지난 5월 21일자에 발표됐다. 이영수 에너지소재연구단 책임연구원. KIST 제공 ... ...
견과류 동물성 단백질에 수면 촉진 효과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임정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이 트레오닌이 수면을 유도하는 현상과 그 신경생물학적 작용 원리를 밝혀냈다. . 중추신경에 작용하는 ... 수면장애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이라이프’ 지난 17일자에 발표됐다. ... ...
韓美연구팀, 휘어지고 늘어나도 성능 안 떨어지는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신축성이 있는 전극과 배터리를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스’에 이달 26일 발표됐다. 늘어나는 배터리는 신축성을 확보하기 위해 탄성이 있는 신축성 소재를 기판으로 사용한다. 그런 다음 기판 위에 전도성 물질을 덮어씌우는 방식이다. 하지만 ... ...
[표지로 읽는 과학] 빙하, 예상보다 2배 이상 빨리 녹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26일 소다맛이 날 것처럼 푸른 빛을 내는 얼음동굴을 표지로 담았다. 미국 럿커스대와 오리건대 연구팀은 빙하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빠르게 녹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특히 미국 알래스카에 있는 조수빙하가 녹는 속도는 예상보다 2배 이상 더 ... ...
[Science토크]‘알파폴드’ 쇼크로 치열해지는 단백질 구조 분석 경쟁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주인공은 미국 하버드대 의대 생물학자인 모하메드 알쿠래시 박사다. 올해 4월 국제
학술
지 ‘셀 시스템즈(Cell Systems)’에 논문으로 발표한 알쿠래시 박사의 AI 알고리즘은 딥마인드의 알파폴드보다 100만배 가량 빠른 속도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CASP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포 수문장의 움직임 하나하나 드러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7
수송체가 물질을 수송할 때 보이는 모든 구조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고 이달 17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ABC 수송체는 세포에 필요한 물질은 받아들이고 해가 되는 물질은 통과시키지 않는 역할을 한다. 인간에게는 중요한 기능이지만 박테리아나 암세포로 눈을 돌리면 이야기가 ... ...
119가지 촉감 느끼는 '인공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섬세하게 느낄 수 있는 의수 '데카루크 암(이하 루크암)'을 만들어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로보틱스' 24일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의료용으로 사용했던 기존 의수와 의족은 대부분 보철과 실리콘으로 만들어 물건을 들거나 거리를 걷는 등 주로 운동기능을 대신하는 데 쓰였다. 하지만 ... ...
이전
1055
1056
1057
1058
1059
1060
1061
1062
10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