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99건 검색되었습니다.
’날 먹지마’ 애원하는 암 세포 단백질 또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날 먹지마’라는 신호를 보내는 단백질인 ‘CD24’를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지난달 31일자에 발표했다. 암세포 표면에서 면역세포에게 신호를 보내는 단백질에는 PD-L1, CD47가 있다. 연구진은 이들 단백질 외에도 ‘날 먹지마’ 신호를 보내는 단백질이 더 있을 것으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맬서스의 학위공장, 그리고 과학기술인협회
2019.08.01
구조적 문제가 심각해지기 시작했다. 왜냐하면 이 시기부터 네이처, 사이언스 등의 과학
학술
지가 과학기술인력 특히 의생명과학계인력수급의 문제를 지적하는 글을 지속적으로 게재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2011년 네이처에는 “학위공장(The PhD Factory)”이라는 논문이 게재된다. 이 논문은 미국과 ... ...
韓美日 국제 공동연구팀, 치매유발 단백질 응집체 형성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이영호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바이오융합연구부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치매를 유발하는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베타 펩타이드의 다양한 응집 ... 관한 기초, 응용 및 분석 연구를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ACS 나노’ 지난달 16일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 ...
살아있는 동물 뇌 속을 훤히 들여다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필요한 산업분야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7일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최원식 기초과학연구원(IBS) 분자분광학및동력학연구단 부연구단장. IBS 제공 ... ...
암세포 자가소멸 유도하는 항암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한계점을 대체하는 새로운 방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지난 5월 24일 온라판으로 발표됐다. ... ...
툭 건드리면 보안용 화면으로...투명도 자유자재 '스마트윈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이용해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윈도를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26일자에 발표됐다. 스마트윈도는 사생활 보호와 예술적 표현에 유리하고, 건물에서 빛을 차단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이 때문에 다양한 방식의 ... ...
그래핀을 초전도체로 만드는 마법의 각 1.1도, 원인 규명에 한 걸음 더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초전도 현상이 전자 간의 얽힘 현상으로 인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이달 31일 발표했다. 단순히 두 장의 그래핀을 조금 엇갈리게 겹치는 것만으로도 초전도체를 구현할 수 있다는 발표 이후 전 세계 과학자들이 관련 연구에 뛰어들었다. 뛰어난 강도와 ... ...
'겉모습은 독사 이빨 같지만'…통증 없는 약물 전달 패치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피부 안에 15초 내에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액상약물 패치를 개발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중개의학’ 1일자에 발표했다. 현재 체내에 액체 약물을 주입하는 유일한 방법은 피부에 구멍을 뚫고 압력을 이용해 약물을 밀어넣는 주사기뿐이다. 하지만 주사는 고통과 거부감이 크고 심하면 ... ...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는 오픈형 AI 주목해야" 제1회 최종현
학술
원 컨퍼런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석좌교수는 31일 서울 강남 한국고등교육재단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제1회 최종현
학술
원 과학혁신 컨퍼런스’에서 인공지능(AI)를 ... 전략과 과학기술 혁신에 대한 융복합적인 연구, 국내외
학술
연구 및 국제 포럼과 같은
학술
교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
'생각만으로 소통하는 시대' 저커버그 꿈 실현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뇌 활동을 해독해낼 수 있는 신경 디코더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30일자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페이스북의 연구부서인 ‘리얼리티랩스’와 함께 공동으로 진행했다. 근육이 마비되는 루게릭병을 앓았던 세계적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은 안면 ... ...
이전
1053
1054
1055
1056
1057
1058
1059
1060
10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