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준"(으)로 총 4,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굴절률(n)은 위상속도의 역수에 비례한 n=cref/cEMM이다. 어떤 물질의 위상속도 cEMM가 기준물질의 위상속도 cref 보다 클수록 굴절률이 작아지고 빛이 조금 꺾이게 된다. 메타물질의 특성은 이런 매개변수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정해진다. 먼저 유전율과 투자율이 모두 양수이면 전자기파의 ... ...
- Part 3. 나가고 싶지 않아요! 먹지 말아 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중순 이후 우화*해요. 그런데 나비 날리기 행사는 평균기온 15.7℃인(2018 나비대축제 기간 기준) 4월 말에 이뤄지죠. 나비가 너무 일찍 자연에 나가는 거예요. 함평군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사실 나비에겐 조금 이르지만 어린이 관람객이 많기 때문에 어린이날에 맞춰 축제를 열고 있다”고 ... ...
- 2019 과학계 파워피플 7인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파워피플을 선정하는 것이 너무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이향숙 교수는 “파워의 세 기준 중 하나인 ‘정책 결정의 파급력’이 단순히 직위나 직책에서 나오는 힘과 구분돼야 한다”고 의견을 냈다. 김승환 교수도 “지속가능한 영향력을 가진 사람을 선정해야 한다”고 동의했다. 파워피플 ... ...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원소를 분류하는 활동인 만큼 모든 원소가 들어있어야 할 이유는 없다”며 “타당한 기준을 세워 분류할 수 있다면 필요한 원소만 취사 선택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라고 조언했다. 실제로 3조는 주기율표를 제작하던 중 계획을 바꿔 전이원소가 포함된 3~12족을 과감하게 제외했다. 이종현 군은 ... ...
- [로보트 재권V] 앉았다 일어났다, 되나요? 4족 대신 2족 보행 선택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무릎 관절에 쓸 모터를 신중하게 선정해야 합니다. 무릎 모터를 선정할 때 일차적인 기준은 앉았다 일어나는 동작을 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무릎을 움직일 때 이 동작보다 더 큰 힘이 필요한 동작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많은 로봇공학자들이 로봇을 만든 뒤 처음 동작 시험을 할 ... ...
- 전국 40개 학급을 도는 최적의 경로는?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콩코드)’라는 프로그램으로 풀 수 있는데요, 이 프로그램에서는 지점 간의 거리를 기준으로 최단 경로만 계산할 수 있어, 저희가 필요한 최소 시간이 걸리는 경로는 계산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지도를 펴고, 직접 경로를 짜봤습니다. 예로 대구 지역의 경로를 한번 볼까요? 대구에서는 π-데이 ... ...
- 어서 와~ 우주는 처음이지?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그렸을 때 나머지 꼭짓점에도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두 천체를 잇는 선분을 기준으로 만들 수 있는 정삼각형은 2가지입니다. 따라서 총 5개의 점에 물체를 놓으면 다른 두 천체에서 봤을 때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 거죠. 이 5개의 지점을 라그랑주의 이름을 따서 라그랑주 점이라고 ... ...
- 신용현|국회의원이 된 과학자, 과학 현장의 목소리를 높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성공과 실패를 무 자르듯 나눌 수 없는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가 다른 공공기관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 받아야 했다. “과거 18대와 19대 국회에서도 출연연을 연구 목적의 별도 기관으로 분류하자는 법안이 발의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동안 논의 테이블에 한 번도 올라오지 못했어요.” 신 ... ...
- [시사과학] 동물보호단체 케어, 개 수백 마리 안락사 시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탓에 사설보호소 중에는 안락사를 거의 시키지 않는 곳도 있는 반면, 케어처럼 명확한 기준 없이 안락사가 이뤄지는 보호소도 있어요. 사설보호소에 대한 관리와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랍니다. 궁극적으로는 구조가 필요한 동물의 수를 줄이고 유기동물을 활발히 입양해야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학시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있을까요? 바로 시간을 볼 때랍니다. 1시간은 60분, 1분은 60초지요. 60진법은 이렇게 60을 기준으로 단위가 올라간답니다. 한편, 디지털에서는 2진법이 쓰여요. 10진법에서는 0에서 9까지 열 가지 수를 사용하지만 2진법은 0과 1만을 사용해요. 컴퓨터가 구분할 수 있는 경우가 전기가 켜졌을 때와 꺼졌을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