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켓개발 용쟁호투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최고봉은 역시 3만6천km의 정지궤도에 위성을 안착시키는 것. 일본은 이를 위해
미국
의 기술을 빌린 반면 인도는 러시아의 기술을 빌렸다. 정지궤도용 우주발사체란 뜻의 GSLV는 인도에서 제작한 고체연료를 1단에, PSLV에서 4단으로 쓰인 액체엔진을 보조부스터와 2단에, 러시아로부터 전수받은 ... ...
2 새로운 초전도체 존재 예측 혼돈의 초유체 원리 밝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스웨덴 왕립 학술원은 이러한 초전도와 초유체 이론을 확립하는데 혁혁한 기여를 한
미국
아르곤 국립연구소의 알렉세이 아브리코소프와 일리노이대 안소니 레깃, 러시아 레베데프 물리연구소의 비탈리 긴즈부르크 등 세명의 학자를 올해 수상자로 선정 발표했다.꿈의 소재, 초전도체1908년 ... ...
물리학이 경락의 실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전망이다. 그뿐 아니라 서로의 융합으로서 새로운 장을 열어놓는 계기가 될 것이다.최근
미국
과 북경에서 우리의 연구에 대해 발표할 기회가 있었다. 경락의 실체 연구라는 것만으로도 많은 과학자와 한의사들이 관심을 표명했고, 격려와 동시에 여러가지 연구 방법과 조언을 주었다. 본 연구실의 ... ...
방귀냄새 맡고 모기 미끼 되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만들기 위해서는 수정란을 파괴해야 하고 때로는 체세포복제도 한다. 이런 이유로
미국
에서는 줄기세포 연구가 일반인들로부터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부시가 말한 78개 세포주 가운데 쓸만한 것은 11개에 불과한 것. 해양학자에게 바닷물 한컵을 건네고는 “이것을 가지고 바다를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프리고진은 열역학적 방법으로 생명을 이해하는 연구를 진행중이었다.꾀장 교수는
미국
유학 생활을 마치고 서울대에서 자리를 잡은 후 생명에 대한 연구를 지속했다. 그 결과 1980년대 중반에 태양과 지구를 연결하는 하나의 큰 유기적 체계를 생명의 진정한 단위로 파악하는 ‘온생명’ 사상을 ... ...
PC로 저렴한 슈퍼컴퓨터 제작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가진 컴퓨터를 제작했다고 BBC 인터넷판 10월 12일자가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최근
미국
버지니아공대 교수들과 학생들은 애플사의 최신 모델인 ‘G5’ 1천1백대를 서로 연결해 강력한 슈퍼컴퓨터 시스템을 제작했다. 사용된 G5는 2GHz의 프로세스 속도와 4GB(기가바이트, 1GB=${10}^{9}$B)의 메모리 용량을 ... ...
따돌림의 고통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일괄 처리하는 방식(매체나 장치의 통합화)이 등장했다 1983년에 발견된 혜성 동년 1월
미국
· 영국 · 네덜란드 3개국의 국제협동계획으로 발사된 적외선 천운관측 위성아이라스(IRAS ; Infrared Astronomy Satellite)가 4월 25일 이동하는 천체를 발견했고 이어서 5월 4일 일본의 아라키 겐이치(荒貴源一)와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자신을 지키기 위해 카페인을 만들게 진화했다는 학설을 처음 주장한 사람은
미국
하버드대 의대 신경학자인 제임스 나탄손 박사다.나탄손 박사는 1984년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카페인이 많은 곤충과 그 유충의 행동과 성장에 장애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밝혔다. 카페인에 중독된 모기의 ... ...
이런 노벨상도… 2003 '엽기 노벨상' 닭도 미녀를 사랑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물오리가 죽은 동성(同性)과 교미하는 장면을 처음 발견했다고 노벨상을 받을 수 있을까.
미국
의 ‘있을 법하지 않은 연구 연보’(Annals of Improbable Research, AIR)는 지난 10월 2일 하버드대에서 이 두 업적에 ‘이그(Ig) 노벨상’을 수여했다. 이그 노벨상은 처음엔 사람들을 웃게 만들지만 그 다음에는 ... ...
성큼 다가선 성층권 비행선 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지구관측과 감시 등의 고난도 임무를 수행한다.현재 기술력에서 가장 앞서 있는 나라는
미국
과 일본. 이들 나라와 비슷한 시기에 개발에 착수한 우리나라도 상당 수준에 올라있다. 한국은 3단계 비행선 개발 과정을 통해 첨단 비행선 산업을 선도한다는 중장기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현재 1단계 ... ...
이전
1061
1062
1063
1064
1065
1066
1067
1068
10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