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우리 세포는 미생물의 모임?1960년대 후반, 유명한 천체물리학자 칼 세이건의 아내였던
미국
의 이론생물학자 린 마굴리스는 ‘순차적인 세포내공생 이론’이라는 당시로는 도발적인 주장을 담은 원고를 저명한 과학출판사인 아카데믹 프레스에 보냈다. 수개월간 초조하게 답을 기다리던 그녀는 ... ...
전화와 e메일 바짝 따라잡은 메신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합의서에 서명한 업체에 한해 차례로 연동기능을 제공할 계획이다.비슷한 상황이 1999년
미국
에서도 발생한 바 있다. 당시에는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아메리칸온라인사에 메신저 호환을 요청했다가 거절당했다. MSN 메신저는 AIM 메신저보다 사용자 수가 적었기 때문에 시장 점유율을 늘리기 위해 ... ...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다음부터 많은 관측자들은 이 은하가 맨눈으로도 보인다고 언급하고 있다. 요즈음에도
미국
사막지역 등 천체관측에 이상적인 곳에서는 이 은하의 존재가 맨눈으로 확인된다고 한다.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는 어떨까. M33을 맨눈으로 본다는 것은 전국 어디에서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만큼 ... ...
우주개척에도 황색 돌풍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세계 세번째로 중국이 유인우주선 발사에 성공했다. 그동안
미국
과 러시아의 전유물이었던 우주공간에 중국의 등장은 인류의 우주개척사에 새로운 장을 예고하고 있다. 일본, 인도, 한국 등 아시아 각국도 본격적인 우주도전을 준비하고 있다. 우주공간에 이는 황색돌풍을 직접 만나보자. ...
이공계가 과학기술 강대국 中國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학생 중 70% 이상이 이공계에서 공부하고 있다.중국에서 이공계생이 갖는 중요성은
미국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행보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부시 대통령은 당선된 직후인 지난해 2월 중국을 방문했다. 중국 수뇌부와의 정상회담이 끝난 직후 부시 대통령은 칭화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설하고 질문에 ... ...
2 아시아, 달을 향한 꿈을 쏘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여러나라가 경쟁적으로 달 탐사에 뛰어들고 있는 것일까. 자존심 때문이다. 냉전 시대
미국
과 옛 소련이 자존심을 걸고 우주 개발에 나섰듯 오늘날 우주 개발에 나선 후발 국가들도 나라의 신인도를 높이기 위해 달 탐사 경쟁에 뛰어든 것이다. 개발도상국 중국과 만성 빈곤국가 인도가 달탐사를 ... ...
3 2020년에는 사이버 섹스도 가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때 촉감재생장치는 부피가 작아야 하고 장갑 같은 외부 장치가 없어야 한다.최근
미국
버팔로대에서는 자신의 손에서 느낀 딱딱하거나 부드러운 촉감 정보를 타인에게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아주 먼 거리에 떨어져 있는 사람이 손으로 느낀 촉감, 즉 어떤 물체가 ... ...
세포막의 출입구, 물·이온 통로 밝혀내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발표해 전세계를 놀라게 했다. 흥미롭게도 매키넌은 구조생물학자가 아니다. 그는 1982년
미국
터프트대 의대를 졸업한 의사였다. 4년간의 레지던트 기간을 마치고 1986년 보스턴에 있는 부란데이스대의 크리스 밀러의 실험실에서 전기생리학을 주제로 박사 후 과정을 시작했다.그가 실토했듯이 나이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거미는 서로를 잡아먹는 습성을 갖고 있어 대량으로 사육할 수 없기 때문이다.넥시아와
미국
육군연구팀은 거미줄을 만드는 거미의 유전자를 암소의 세포에 이식했다. 유전자가 이식된 세포를 긴 튜브 벽에 부착한 후 한쪽 끝에 성장인자를 투여하자 다른쪽 끝에서 거미 실크를 뽑을 수 있었다. ... ...
트로이의 목마, 몸 속을 휘젓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알츠하이머병(노인성 치매)에도 미생물이 연관돼 있을지 모른다. 2000년 신경생리학자인
미국
웨인주립대 알란 허드슨 교수는 클라미디아 뉴모니아가 동맥경화증이나 관절염에 관련이 있을지 모른다는 얘기를 듣고 알츠하이머병에도 관련이 있는지 조사해봤다.그 결과 놀랍게도 중증의 치매로 ... ...
이전
1062
1063
1064
1065
1066
1067
1068
1069
10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