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실험 능력,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농도에 대한 이해와 함께 더 밀한 매체가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이 포인트다.
분자
수준에서 생각할 수 있으면 더 좋다. 빛이 진행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입자를 만나게 된다면 더 밀한 매질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실험 문항을 대비하는 학습법실험과 연관된 문항을 풀기 위해서는 실험을 ... ...
저절로 울리는 드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진동했다.우리는 소리가 공기를 매질로 전달되는 것을 안다. (…중략…) 소리는 공기
분자
들을 일그러트려 압축된 부분과 압축되지 않은 부분이 생긴다. 이때 압축이 되면서압력의 차이가 생기는데 이로 인해 소리가 전달되는 거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소리가 질량이 없이 단지 이동을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역학법칙은 어기지 않으면서도 뜨거운
분자
는 뜨거운
분자
끼리, 차가운
분자
는 차가운
분자
끼리 따로 모을 수 있다고 믿었다.][몸길이 15mm의 민물지렁이 ‘스틸라리아 라쿠스트리스’는 ‘다윈의 악마’의 후보로 거론될 만큼 번식 속도가 빠르다.][찰스 다윈(1809~1882) - 영국의 생물학자. 진화론을 .. ...
전기 만드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음(-)전기를 띠면서 전류가 흐른다.연구팀은 압전판에서 음(-)전기를 띠는 쪽 끝에 음전하
분자
를 추가로 붙였다. 단백질의 음극과 양극 사이의 전자 차이를 늘려 압전효과를 높인 것이다. 또 한 겹의 바이러스 층을 차곡차곡 쌓은 방식으로 성능을 강화한 끝에 20겹일 때 최고의 압전효과를 낼 수 ... ...
누구나, 함께 쓰는 슈퍼컴 전도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있는 분야로 재료공학과 나노공학 분야를 꼽았다. 앞서 예로 든 구슬의 무게와 크기 대신
분자
들의 성질을 슈퍼컴퓨터에 입력하면 실제로는 오래 걸리는 화학실험도 단숨에 끝낼 수 있다. 그런데 사람들에게 슈퍼컴퓨터는 여전히 다가가기 힘든 존재다. 비싸고 다루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미 생물학자들은 인간의 게놈(유전체) 전체를 해독했고, 세포 안에 있는 수많은
분자
의 기능을 알아냈으며 뇌를 컴퓨터에 빗대 설명한다. 그러나 튜링이 이 논문을 발표했던 1950년대만 해도 생명 현상과 정보 처리를 같은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생명체와 실리콘의 융합튜링이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비해 공기가 1조 분의 1 수준으로 적다는 뜻이다. 혹시라도 실험실 구조물에서 기체
분자
가 튀어나올까 봐 철 안의 수소 함유량을 줄이는 기술까지 도입했을 정도다.이렇게 거대한 시설을 극단적인 진공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측정 대상이 지구에서 가장 예민한 물리량이기 때문이다. ... ...
마법 요리의 세계로 오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과학 놀이마당’에도 참가했다. 특히 과학 놀이마당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분자
요리 과학실험을 했는데 호응이 좋아 4, 5학년 부 상도 받았다.평소에는 학교에서 실험 활동을 한다. 모둠별로 학생 스스로 실험 주제를 정하고 친구들 앞에서 발표하고 실험을 진행한다.처음부터 PSL활동이 ... ...
차가운 빛의 세계, 발광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다이오드로 1987년 미국 이스트먼코닥사의 중국인 과학자 칭 W. 탕이 개발했다. 저
분자
유기물질 박막에 전류를 흘려주자 LED처럼 밝은 초록빛을 내는 것을 발견했다. 현재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평판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이다. LCD는 액정 소자가 촘촘히 배열된 패널을 이용해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큰 2.42다. 굴절률이 크기 때문에 빛이 큰 각도로 굴절돼 영롱한 빛을 낸다. 메타물질은
분자
가 빛을 받아들일 때 생기는 전자기장에서 핵과 전자의 움직임을 조작하는 회로를 만들어 쌓는다. 굴절률을 0에 가깝게 하거나 마이너스로 만드는 것이다. 이런 메타물질로 망토를 만들면 투명망토가 된다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