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표"(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끈기와 근성 있다면 도전하세요! 화이트해커 박세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다양한 프로그램의 취약점을 분석해 파일 시스템에 숨겨 놓은 파일을 얻어내는 것이 목표였죠. 성공했을 때는 마치 영화에 나오는 주인공이 된 기분이었습니다. Q. 화이트해커에게 가장 중요한 덕목은 무엇인가요?‘끈기’와 ‘근성’이라고 생각합니다. 해킹은 개발자보다도 더 그 프로그램이나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시장에 출시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는 “처음 목표는 접었다 펴기를 10만 번 반복해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이었는데, 40만 번까지 요구 수준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접히는 부분의 반지름(둥글게 말리는 부분을 원으로 가정할 때 )도 초기에는 5mm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구축돼 있으며, 이 가운데 2개는 현재 운영을 시작했고 나머지 4개는 2018년 중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E-XFEL은 전 세계 연구자들에게 별도 사용료 없이 실험용으로 개방된다. 에벨링 팀장은 “향후 5~10년은 연구 데이터를 공개한다는 조건 하에 무료로 장비를 사용할 수 있게 할 방침”이라며 “그 ... ...
- Part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내다보고 있어요. 한양대학교 생체공학과 임창환 교수는 “인류가 처음 달 착륙을 목표로 잡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새 기술이 탄생했다”며, “마찬가지로 뉴럴 레이스 개발은 오래 걸리겠지만 그 과정에서 뇌와 관련된 수많은 기술이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답니다 ... ...
-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생명과학을 복수전공할 생각이다. 화학을 바탕으로 생명과학을 심도 있게 연구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겨울방학부터는 정용원 KAIST 화학과 교수 연구실에서 단백질 연구에 참여한다. 단백질은 DNA에 의해 큰분자로 조립된 뒤 로봇처럼 여러 가지 일을 하는데, 어떻게 조립되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은 ... ...
- 수학으로 완성한 감성 게임, 더뮤지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게임을 할 수 있다. 워너원 같은 아이돌뿐만 아니라 신인가수도 알리는 무대가 되겠다는 목표가 엿보였다. 음악가를 꿈꿨던 프로그래머음악에 대한 장인 정신이 느껴지는 더뮤지션을 만든 사람은 임종관 라이머스 대표다. 임 대표는 12살이던 때 처음으로 기타에 빠졌다. 엄마를 졸라 학원에 갈 ... ...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커넥톰을 과학자들끼리 공유하고, 이를 이용해 디지털 생명체를 만드는 게 목표였지요. 그 결과, 2014년에 예쁜꼬마선충의 커넥톰으로 레고 마인드 스톰 로봇을 움직이는 데 성공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사람이야? 로봇이야? 호모 사이보그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 ...
- [과학뉴스] AI로 마음껏 날아다니는 ‘가상 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비행생명체가 빠른 시간 내에 장애물에 부딪히지 않고 목표 지점에 도달하면 큰 보상을 받도록 시스템을 설계한 것이다. 가상 비행생명체를 1~2일 학습시킨 다음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그 결과 가상 비행생물체는 장애물에 부딪히지 않고 스스로 피하면서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적용해 혼자 걸어 다닐 수 있다. 비록실험실 수준이지만, 원하는 물질을 찾아 들어 올려 목표한 지점에 내려놓는 임무에도 성공했다. 첸 교수는 “혈류나 세포에 약물을 운송하고, 암세포와 같은 몸 속 찌꺼기를 끌어다 버리는 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인위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정확하게 목표하는 영역만을 활성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특정 약물을 주입해 뇌 영역을 자극하거나 억제하는 방법도 사용했지만, 이 역시 약물이 체내에 흡수되는 정도를 조절하기 어렵고, 약물에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