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표"(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교수는 “관절 질환 등으로 운동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노인들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제 막 본격적인 실험에 돌입했다. 지금까지는 실험에 필요한 기본 장비를 개발하는 데 힘을 쏟았다. 가령 세포가 특정한 자극 조건에 따라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하나하나 ... ...
-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어쩔 수 없군요. 전염병주식회사는 전염병으로 인류를 멸망에 이르게 하는 게임입니다. 목표는 끔찍하지만 그래픽은 잔인하지 않아요. 현실성이 뛰어나서 오히려 전염병 교육 도구로 쓰기도 하죠. 무엇보다 재밌습니다. 2012년 모바일 게임으로 나온 뒤 지금까지 전세계 2억 명이 플레이했고 PC게임과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 로봇, 진짜 벌처럼 윙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비행할 수도 있고, 흔들리는 꽃의 경로를 예상해서 착륙할 수도 있지요. 로보비가 최종 목표대로 완성되면 인명 구조 작업이나 인공 수분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거예요. 더 똑똑해질 로보비의 변신을 기대해 주세요~ ... ...
- 다양한 관점에서 ‘행복’에 접근하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주제를 역사적, 지리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중심된 목표로 삼게 됐다. 통합사회의 첫 번째 단원은 행복이다. 과거 윤리 과목에서 중심적으로 다뤘던 행복이라는 주제를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윤리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이해함으로써 통합적 사고력을 발달시키는 ... ...
- [현장 취재] 올해도 탐사 미션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모두 관찰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어요. 그리고 전국 방방곡곡을 바쁘게 다닌 끝에 결국 목표를 이뤘지요. 강원도 평창에서 72시간을 기다려서 세모배매미를 발견한 일 등 잊지 못할 추억들이 많답니다.” 배윤혁 연구원은 내년에도 전국 곳곳을 다니며 매미 탐사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해요. “함께 ... ...
- Part 2. 스마트 시티, 도시가 똑똑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덴마크 코펜하겐이 1위를 차지했어요. 코펜하겐은 2025년까지 100% ●탄소 중립을 목표로 신재생에너지를 늘리고 있어요. 그 중에서도 풍력발전을 적극 활용해 이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절반 수준으로 줄였지요. ●탄소 중립 :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다시 흡수해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 ...
- [현장 취재] 야생동물을 위해 만들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서식지 문제를 돕자!’라는 목표로 메이커 프로젝트에 도전한 지구사랑탐사대! 총 10개 팀이 지난 10월 21일, 최종 제작물을 발표하기 위해 모였어요. 지구에서 야생동물과 함께 살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도전했던 지난 5개월의 여정을 함께 만나 볼까요? 망치고, 실패하고, 다시 해 보고 ... ...
- [과학뉴스] 2017년 노벨상 발표! 수상의 영광은 누구에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핵무기폐기국제운동(ICAN)’이 받았어요. ICAN은 핵무기가 지구상에서 사라지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단체예요. 세계 100여 개국 468개 비정부기구가 함께하고 있지요. 이 단체는 핵무기가 인류를 위협한다고 보고, 이를 금지하고 제거하기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하는 ‘인도주의 서약’을 108개국에서 ... ...
- Part 4. 소행성 찾으러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프시케는 소행성대에서 가장 무거운 소행성으로 알려진 ‘16 프시케’를 탐사하는 것이 목표예요. 대부분 철과 니켈로 이뤄진 소행성인데, 이 물질은 지구 중심 부분을 구성하는 물질이기도 하답니다. 그래서 16 프시케의 연구는 지구 중심 부분을 이해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 ...
- Part 5. 소행성에서 광물을 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2019년에 ‘프로스펙터-1’을 쏘아 올려 채굴을 할 소행성까지 보내는 게 첫 번째 목표랍니다. 프로스펙터-1은 소행성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물이 존재하는지 조사하게 돼요. 우주에서 물은 훌륭한 연료이기 때문이지요. 물을 전기분해하면 산소와 수소가 되는데, 모두 연료로 사용할 수 있거든요.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