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망
원오
불평
책임
d라이브러리
"
탓
"(으)로 총 1,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양 제거하기 위해 심장 떼낸 채 수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혈액 순환에 치명적인 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종양이 심장 뒷편에 위치한
탓
에 기존의 수술 방식으로 제거하기 어려웠다는 점이다. 의사들은 심장을 얼음이 든 식염수통에 담그고 2시간 동안 종양을 도려낸 후 다시 제 위치에 결합시켰다. 물론 환자는 심장이 ‘없는’ 시간에 ... ...
3. 우여곡절로 점철된 신약개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말한다. 신장 옆에 붙은 부신에서 정상보다 많은 호르몬 아드레날린이 분비된
탓
이다. 아드레날린은 심장의 박동을 촉진하고 혈관을 수축시키는 기능을 가졌다. 심장에서 뿜어내는 피가 증가한 상태에서 혈관 구멍이 좁아지니 혈압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수백명의 청중 앞에서 깜짝쇼를 벌인 ... ...
4.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공기 속에서 치르게 것도 일정 기간 자동차 운행을 자제해 오염물질을 빗물로 줄인
탓
이다.하지만 CFC는 다르다. 우선 빗물에 씻기지 않을뿐더러 햇빛에도 꿈쩍하지 않는다. 일단 공기 속에 들어가면 점점 위로 확산돼 성층권에 도달한다. 성층권에 도달한 CFC는 강력한 자외선에 더 이상 견디지 ... ...
인터넷PC 꼼꼼 분석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인터넷PC 신청업체 중 최종사업자로 선정된 업체는 12곳. 대기업들이 참여하지 않은
탓
에 고객 입장에서 보면 업체들의 이름이 낯설기만 하다. 컴퓨터를 처음 구매하는 사람들은 브랜드를 따라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낯선 브랜드 때문에 인터넷PC의 구매를 주저할 가능성도 없지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생리·의학상-군터 블로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같은 난치병들의 주요 원인은 바로 단백질이 특정 부위로 이동하는 기능에 이상이 생긴
탓
이라고 한다. 따라서 블로벨 박사의 연구 내용은 이런 질병들의 진단과 치료제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마지막으로 블로벨 박사의 신호 가설은 사람 유전자지도의 완성을 목표로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입의 운동과 관련된 광대뼈를 비롯한 각종 뼈들의 기능이 퇴화할 수밖에 없다.무른 음식
탓
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부위는 아래턱뼈다. 최근 10여년 간 턱의 폭과 길이가 5% 정도나 줄었다. 외관상 턱 끝이 이전보다 뾰족해졌다는 의미다. 음식이 무른 이유도 있겠지만 열풍처럼 번지는 다이어트 ... ...
1. 20년 후 한국인 체형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점점 떨어지고 있다는 의미다. 또 TV, 비디오, 컴퓨터 앞에서 지내는 시간이 늘어난
탓
에 안경을 끼는 학생이 1백명중 20명이 넘고, 과다섭취와 운동부족에 따른 고도비만 학생(표준 체중의 1백50%를 넘는 학생)이 1천명 당 87명 꼴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상황이라면 체격이 향상되고 있는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때문이다. 이왕이면 멋진 탤런트의 외형을 좇으려는 인간의 심리가 크게 작용하는
탓
이다. 오똑한 코와 짙은 눈썹을 만드는 유전자를 기존의 유전자와 대체시키면 문제가 간단하게 해결된다. 그렇다면 영화 '슈퍼맨'에 등장하는 주인공이 현실에서 대거 출현할 가능성이 크다.그러나 형질이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제시했다. 처음 일본 열도가 분리될 때 가장자리보다 가운데에 강한 힘을 받은
탓
에 중심 부위가 꺽인 채 태평양을 향해 밀려나갔다는 설명이다. 이때 일본 열도의 북단과 남단은 각각 반시계방향과 시계방향으로 50도 정도 회전했다. 이 모습이 마치 부채를 펼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해서 이름이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새끼양의 심장박동이 조금 빨라졌다. ‘아 낯익은 소리가 들린다’하며 다소 흥분한
탓
이다. 즉 새끼양은 뱃속에 있을 때 어미양의 울음소리를 인식했고, 출산 후에 이를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어머니의 목소리가 뇌 발달에 영향다음해에는 비슷한 실험이 사람에게 행해졌다. 사용된 음향은 자궁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