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망
원오
불평
책임
d라이브러리
"
탓
"(으)로 총 1,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을 빼닮은 컴퓨터 속의 생명체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연구 분야가 끊없이 깊어지는 만큼 과학이 다루는 시야 역시 한없이 좁아져 갔다. 이런
탓
에 세포에 대한 분자수준의 연구는 많이 진척되고 있지만 정작 세포 하나의 생명현상에 대해 ‘거시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눈은 사라지고 있다.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는 말이다 ... ...
② 변신의 명수 바이러스 퇴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바이러스는 치사율이 매우 높아서 감염되면 며칠 내에 생명을 잃게 만든다. 하지만 그런
탓
에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는 정도가 약하다. 이에 비해 에이즈 바이러스는 빠른 속도로 전염이 되고 있지만 발병하기까지 몇년 이상의 잠복 기간을 가진다. 바이러스의 이런 특성들을 하나하나 밝히고 최대한 ... ...
돌리의 생체시계는 몇 시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분열하는 경우는 어떨까. 만일 그대로 방치했다가는 텔로미어가 순식간에 짧아지는
탓
에 정자의 생명은 그리 오래 가지 못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텔로미어를 만드는 효소인 텔로머레이즈(telomerase)다. 생식기관, 조혈기관, 그리고 피부와 같이 세포분열이 왕성한 곳에서 활약을 펼쳐 ... ...
③ 일방적 승리는 없다 절충이 있을 뿐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위험이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바이러스가 스스로 돌연변이를 일으켜 새롭게 등장하는
탓
도 있겠지만, 사람들의 행태 변화 역시 주요 원인이다. 과거에는 질병이 지역적으로 국한돼 소위 ‘질병의 쇄국주의 시대’가 오랫동안 지속됐다. 그러나 인간 문명의 세계화는 곧 바이러스집단의 세계화로 ... ...
동강의 땅 밑이 심상치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알려주기 때문이다. 사람이 몸의 어느 부위가 아픈 경험이 있으면 그곳의 기능이 약해진
탓
에, 이후에는 다른 부위보다 자주 그곳이 아픈 것과 비슷한 이치다. 여기서 땅 속이 불안정하다는 말은 무슨 의미일까.땅 속에는 다양한 크기의 수많은 암석들이 존재한다. 어떤 원인에 의해 암석이 균열돼 두 ... ...
④ 쥐 정소에서 사람 정자 성숙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머물고 있는 남성이라면 문제가 다르다. 아직 염색체수가 절반으로 줄지 않은
탓
에 생식세포로서의 ‘자격’이 없기 때문이다. 제아무리 기술이 발달했다 해도 ‘유전자 자격미달’인 세포를 난자와 수정시킬 수는 없는 노릇이다.안티노리 박사는 바로 이 생식세포에 자격을 부여하는 실험을 ... ...
③ 꼬리없는 정자로 임신 성공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정자와 난자가 만나야 수정이 순조롭게 이루어진다. 그렇다면 이들 생식세포가 미성숙한
탓
에 임신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1996년 9월 서울 영동제일병원에서 ‘무정자증’으로 판명된 아버지가 쌍둥이를 출산케 해서 화제를 모았다. 이어서 1997년 12월 대구하나병원에서도 ... ...
새옷 입은 고속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얼마되지 않아 금방 고물이 되고, 그나마 새 제품들은 이전 제품과 다른 방식을 채택한
탓
에 업그레이드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제품 수명이 너무 짧아 신제품을 빨리 사는 사람이 손해보는 이상한 세상이 된 것이다.더욱이 업체들은 새 제품을 발표하면 으레 이전에 나온 제품은 마치 못쓸 제품으로 ... ...
중세) 절대불가침의 영역 적십자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있다. 한 설명에 따르면, 이 문장이 백인의 원조인 아리안족이 ‘최고의 상징’으로 여긴
탓
에 히틀러가 독일인이 아리안족의 적자라는 점을 알리기 위해 이를 선택했다고 한다. 위대한 조상의 피를 물려받아 유럽 통일의 영광을 달성하겠다는 의미였다.대문에 표시한 물고기 아이콘 - 예수 ... ...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더욱 커졌다. 한 예로 가전제품의 경우 기능의 종류가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고 변하는
탓
에 그 설명을 일일이 글로 옮겨 적기 어려워지고 있다. 그렇다면 단순한 그림으로 기능을 표시하면 되지 않겠는가.전세계인을 대상으로 아이콘이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된 사례는 1968년 멕시코에서 열린 제19회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