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망
원오
불평
책임
d라이브러리
"
탓
"(으)로 총 1,409건 검색되었습니다.
99대한민국 과학축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행사는 43개 단체가 참여해 1백58개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체험위주의 실험 비중을 높인
탓
에 전체 프로그램의 70% 이상이 관람객이 직접 해보고, 만들어 가져가는 것으로 이뤄졌다.대한민국과학축전은 3회째이지만 전국 규모의 과학행사를 따지자면 올해로 7년째이다. 93년 치러진 처음의 행사가 ... ...
암세포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약품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있다. 매출액 수준으로 보면 전체의 80%가 여기서 산출된다.하지만 대부분이 중소기업인
탓
에 자체적인 연구 역량이 확보되지 않았다. 그래서 스스로 제품을 개발하기 보다는 대기업의 제품을 그대로 모방하거나 외국 제약업체로부터 비싼 기술료를 지불하고 수입하는 일이 대부분이었다. 먹는 ... ...
② 살아있는 약공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점이다. 연구팀은 기존의 형질전환 동물이 젖을 통해 인체에 유용한 물질을 만들어낸
탓
에 시간의 제약이 따른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래서 암수 구별 없이 일단 태어나기만 하면 평생 생체 물질을 분비하는 방법을 고안한 것이다.연구팀이 개발한 쥐는 소변 1L당 hGM-CSF를 0.2mg 생성한다. 만일 이 ... ...
실험실은 동물보호 사각지대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성장호르몬 유전자를 보유한 돼지의 경우 스트레스에 과민하게 반응하고 몸이 무거워진
탓
에 발을 절뚝거리는 수난을 당했다. 한국에서 개발된 산양유전자 이식 돼지 역시 비슷한 처지다. 무거워진 몸무게를 견디지 못해 이 돼지는 서서 움직일 수가 없다고 한다. 태어난 동물은 둘째치고 수많은 ... ...
3. 걸음마 배우는 우리나라 SF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도입된 적이 없다는 점과, 지난 30여년간 엄격한 과학기술만을 인정해온 국민적 정서
탓
이 아닌가 한다.그러한 나라에서 과학소설이 이토록 푸대접을 받아왔다는 사실은 한편으로는 어이없는 일이다. 우리나라는 출판대국이자 비정상적으로 많은 문학동인이 있는 나라이다. 그런데 SF 잡지는 한권도 ... ...
3. 위험일 경고하는 바이오리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컨디션을 관리해 온 김준성 훈련지도위원은 “시합 결과가 안좋은 것을 바이오리듬
탓
으로 돌리는 것은 변명거리에 불과하다”라고 단언한다. 단 10초의 승부를 위해 몇년 간 매일 대여섯시간 맹훈련을 해온 것이 시합날 컨디션 때문에 쉽게 물거품이 되지는 않기 때문이다.하지만 김준성 위원은 ... ...
2. 망가진 생체리듬이 병을 부른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한다.정신적인 스트레스 역시 만만치 않다. 밤에 일에 대한 집중력이 떨어지는
탓
에 이를 극복하려고 지나치게 신경을 쓰게 마련이다. 긴장을 풀고 불안감을 없애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술과 담배, 각성제, 진정제와 가까워진다.교대 근무자들이 이 악순환을 벗어나기란 좀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 ...
돌리의 생체시계는 몇 시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분열하는 경우는 어떨까. 만일 그대로 방치했다가는 텔로미어가 순식간에 짧아지는
탓
에 정자의 생명은 그리 오래 가지 못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텔로미어를 만드는 효소인 텔로머레이즈(telomerase)다. 생식기관, 조혈기관, 그리고 피부와 같이 세포분열이 왕성한 곳에서 활약을 펼쳐 ... ...
② 변신의 명수 바이러스 퇴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바이러스는 치사율이 매우 높아서 감염되면 며칠 내에 생명을 잃게 만든다. 하지만 그런
탓
에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는 정도가 약하다. 이에 비해 에이즈 바이러스는 빠른 속도로 전염이 되고 있지만 발병하기까지 몇년 이상의 잠복 기간을 가진다. 바이러스의 이런 특성들을 하나하나 밝히고 최대한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지 두달 후인 1957년 12월 6일에 시험발사됐다. 그러나 너무 서둔
탓
인지 밴가드로켓은 2초 만에 1m 가량 오르다가 땅에 주저않고 말았다. 이를 두고 언론에서는 ‘땅에 주저앉은 스푸트니크’라는 뜻으로 스테이푸트니크 (Stayputnik)라고 불렀다. 다음해 1월 25일 두번째의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