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촉각
안테나
말더듬이
공중
안테너
d라이브러리
"
더듬이
"(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잠자리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07
실잠자리상과 청실잠자리상과 물잠자리상과가 있다.잠자리의 머리에는 3~7마디의 짧은
더듬이
가 있다. 커다란 눈(複眼)은 반구상으로 부풀어 올라 1만~3만개의 낱눈으로 구성된 겹눈과 정수리에 3개의 홑눈이 발달돼 있어 먼 곳을 잘 볼 수 있다. 막대기 끝에 앉아 있던 깃동잠자리가 갑자기 날아 올라 ... ...
떡갈나무 하늘소
과학동아
l
199212
자주 발견되는데, 야행성(夜行性)으로 불빛에 잘 모여든다. 수컷이 암컷에 비해
더듬이
가 길지만 체구는 작다. 성충은 참나무류의 나무껍질을 갉아 먹으며, 애벌레도 살아있는 나무속의 목질부를 씹어먹는 하늘소과의 대표적인 해충이다. 애벌레는 나무속에서 살며 번데기가 되기까지 지역에 따라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12
더듬이
의 모양으로 구분하면 틀림없다. 나비의
더듬이
는 끝이 곤봉처럼 굵고 나방의
더듬이
는 실 빗살 깃털 모양을 하고 있다. 이밖에 나비는 낮에 활동하고 몸통에 비해 날개가 큰 데 비해 나방은 밤에 활동하기 때문에 등불을 잘 찾아 들고 몸통에 비해 날개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나비는 인간에게 ... ...
아라크네의 자식들
과학동아
l
199209
몸을 가지고 있으며 앞부분인 두흉부와 뒷부분인 복부에 네쌍의 다리가 있고 날개나
더듬이
는 없다. 모든 거미류중에서 (전갈과 진드기 등을 포함한다) 거미는 가장 수도 많고 종류도 다양한데 약 4만여종이나 되며 이들 모두는 남을 약탈하는 포식생물이다.거미에겐 흉부에 거미줄을 만드는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11
할 수 있다.망둥이는 딱총새우가 만든 굴 속에서 항상 함께 생활한다. 딱총새우는 반드시
더듬이
의 일부로 망둥이를 만지고 있다. 이를 통해 눈치빠른 망둥이의 행동을 감지, 자신을 보호한다. 즉 딱총새우는 망둥이에게 은신처를 제공하고 망둥이는 위험을 재빨리 딱총새우에게 알려준다.예쁜이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10
0.8%)보다 12배나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게시윈드에 따르면 언어장애를 일으켜 말
더듬이
가 될 확률도 오른손잡이의 10배나 된다고 한다. 실제로 인간의 언어기능은 좌뇌에 있는 두 '스피치존'(speech zone), 즉 워닉부위(Wernicke's area)와 브로키부위(Broca's area)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다.왼손잡이들을 더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09
암컷을 향해 날아간다.
더듬이
의 밑동에는 존스턴기관이 있는데 이것을 통해 모기는
더듬이
의 움직임 풍압 기류 진동 등을 느낀다.수컷의 존스턴기관은 특히 발달돼 있는데 그들은 암컷의 날개소리만을 듣고서도 날고 있는 암컷을 찾아갈 수 있다. 3 ③곤충중에는 성충이 되면 먹이를 전혀 먹지 ... ...
바퀴벌레의 행동양식
과학동아
l
199007
열중할 때 수컷은 암컷을 거미줄로 결박한 후 교미한다.야행성 거미들은 극도로 발달된
더듬이
를 활용, 그들의 먹이를 찾는다. 따라서 그들끼리 만나면 우선 상대방의 긴 다리를 조심스럽게 쓰다듬어 본다. 둘은 상당히 주저한 끝에 비로소 좀더 가까이 접근한다.이와 같은 수컷의 주도면밀한 ... ...
남자와 여자의 뇌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11
교수는 안드로겐의 과잉분비가 일어나면 좌뇌의 발달이 극단으로 지연되어 그것이 말
더듬이
나 실어증 등의 언어장해와 자폐증을 낳는 것이 아닌가 하고 추측했다. 실제 왼손잡이 남아에 그런 증세가 많은 것이다. 대수학자와 천재적 자질의 선수를 잇는 비밀그렇다면 왼손잡이 남자는 마치 손해 ... ...
즐겁고 유익한 여름을! 자연관찰을 위한 안내
과학동아
l
198708
과일즙을 발랐을 때의 차이를 분석해본다. 곤충을 관찰할 때는 특히 전체적인 모양과 발,
더듬이
등의 수, 그리고 움직이는 형태를 세밀히 관찰, 기록하는 것이 좋다. ▲컵에 뜬 얼음조각 들어올리기 : 피서지에서는 각종 음료수에 얼음을 띄워 마시게 마련. 이때 실로 얼음을 묶지않은채 들어올려 ... ...
이전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