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촉각
안테나
말더듬이
공중
안테너
d라이브러리
"
더듬이
"(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11
은하(NGC 4038/4039)가 충돌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끔직한 우주교통사고의 현장이다.
더듬이
는 이런 와중에 뛰쳐나온 물질이 이룬 모습이다.우주에 사는 에스키모우주에서 가장 화려한 모습을 자랑하는 성운에는 여러종류가 있다. 성운은 색깔도 다채롭지만 모양도 다양하다. 성운은 별과 별 사이에 ... ...
곤충진기명기
과학동아
l
200006
Titanus giganteus)도 길이로만 본다면 챔피언급. 몸통만 해도 골리앗큰뿔꽃무지와 비슷하며
더듬이
를 더하면 더 크다. 이 곤충들의 이름도 크기를 강조해 성경에 나오는 거인 골리앗과 그리스신화의 거인 신(神)인 티탄, 기간테스를 따서 지었다.길이만으로 따졌을 때 가장 큰 곤충은 1995년 ... ...
4. 바퀴벌레의 지혜터득한 로보로치
과학동아
l
199708
반응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쓰임새는 가히 짐작할 수 없을 만큼 무궁무진하다.
더듬이
와 함께 곤충의 대표적 감각기관 가운데 하나인 눈을 생각해보자. 파리의 눈은 7백50개에 달하는 얇은 렌즈가 벌집 모양으로 모여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각각은 보는 범위가 정해져 있다. 만약 장애물 사이를 ... ...
아름다운 나비표본 만들기
과학동아
l
199609
뒷날개 전연이 겹치도록 고정하면 된다. 특히 전시할 때는 곤충바늘로 조심스럽게
더듬이
를 펴고, 배를 솜이나 삼각지를 이용해 받쳐 놓아야 한다. 전시가 끝나면 각각의 나비에 라벨을 붙여 언제, 어디서, 누가 잡았는지 기록해 둔다. 차례로 잡은 나비를 전시한 후 2-4주간 벌레와 먼지가 없는 ... ...
한라산 나비
과학동아
l
199609
나비와 나방의 차이가 무엇일까. “
더듬이
끝이 두꺼워지는 것이 나비이다. 나방은
더듬이
끝이 가늘고 날개에 비해 몸통이 크다.” 그러나 학문적으로 나비와 나방을 구별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는 신교수의 설명이다. 나비 다니는 길이 있다8일(목). 대원들이 식사를 마치고 시원한 복장으로 ... ...
희생정신 충만한 아마존 왕국
과학동아
l
199606
굴은 여러 마리의 일개미들이 머리를 모아 지키기도 한다. 바깥일을 보고 돌아온 동료가
더듬이
로 머리를 두드리면 비켜서서 들어오게 하지만 다른 집안의 개미는 아무리 두드려도 문을 열어주지 않는다. 하루도 빠짐없이 날마다 문을 지키는 그들의 봉사정신은 정말 대단하다.인간사회에서 ... ...
생물- 곤충모형만들기
과학동아
l
199504
겹눈을 만든다.③ 철사를 3㎝가량 자른 후 머리의 아래쪽에 빨대 같은 입을 만들고 짧은
더듬이
를 만든다.④ 역시 3㎝가량의 철사로 다리를 붙인다.⑤ 파일을 잘라 두 쌍의 날개가 등 위에 나란히 접히도록 붙인다.⑥ 끝으로 찰흙주걱을 이용해 배에 체절 무늬를 새긴다 ... ...
한강생태계, 되살아나고 있다
과학동아
l
199411
서식지인 수초군락의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육상곤충의 우점종은 긴
더듬이
바구미 무당벌레 등이며 대만흰나비 네팔나비 십자무늬 노린재 등도 많이 관찰됐다. 이번 조사에서는 90종이 관찰됐는데, 이는 1990년의 1백 4종에 비해 감소된 것이다.이러한 이유는 한강 유역이 체육시설 등 ... ...
생물- 동물 골격 표본 만들기
과학동아
l
199410
4-5일 가량 담근다.2 머리 가슴과 배부분을 분리시킨 후 속의 내장과 근육을 제거한다.
더듬이
와 다리 속의 근육질은 해부침 등을 사용해 제거한다.3 흐르는 물로 충분히 씻고 완전히 건조시킨다.4 철사를 새우속에 들어 갈 수 있을 만큼 적당히 잘라 나프탈렌 가루를 묻힌 솜을 씌운다.5 4의 것을 ... ...
인간사회 축소판 개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09
만나게 되면 서로 상대방의 뱃속사정을 물어본다. 이때 개미들은 머리 끝에 달린 한쌍의
더듬이
로 서로의 뜻을 전달한다. 배고픈 개미가 있으면 배부른 개미는 많은 양분이 섞여 있는 자기의 침을 토해서 배고픈 개미에게 준다.그러나 이러한 영양교환에는 또다른 복잡한 의미가 있다. 개미의 침은 ... ...
이전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