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촉각
안테나
말더듬이
공중
안테너
d라이브러리
"
더듬이
"(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형제자매 해치는 동물들의 기막힌 사연
과학동아
l
200308
도맡아 처리하게 한다.일본왕개미의 집단 간 싸움도 처절하다. 적을 일대일로 마주하고
더듬이
나 다리를 물어 일단 상처를 입힌 다음 다른 개미가 옆에서 적의 목이나 허리를 물어뜯어 죽인다. 일본왕개미의 전쟁터에는 팔다리가 떨어져나가는 부상을 입은 개미와 몸통이 잘려나가 처참하게 죽은 ... ...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
과학동아
l
200303
차이가 난다. 그렇지만 다지류는 곤충류보다는 거미, 전갈 등과 같이 아예
더듬이
가 없는 협각류에 가까이 있었다. 곤충류와 갑각류의 관계에 대해서는 과학자들 사이에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었으나 절지동물의 나머지 큰 집단인 다지류와 협각류의 관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거의 없었다. 황 ... ...
1. 폭력 난무하는 약육강식의 우주
과학동아
l
200212
은하에서 관측되는 다리나 꼬리와 비슷한 특징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특히
더듬이
은하를 재현한 시뮬레이션은 극적이었다. 어떤 경우에는 실제 관측을 재현하려고 수백번에 걸친 많은 시도를 했다.두 은하가 충돌하는 과정을 좀더 자세하게 살펴보자. 이때 과연 은하에 속한 별들은 ... ...
2. 현재 우리은하는 충돌중
과학동아
l
200212
충돌하는 동안 젊은 구상성단이 대량으로 탄생하는 셈이다. 대표적인 충돌은하인
더듬이
은하에 대한 허블우주망원경 관측에서 1천개 이상의 새로운 성단이 확인됐다는 사실만 봐도 알 수 있다.최근에는 충돌하는 은하에서 발견된 젊은 구상성단들의 색과 밝기를 관측해 은하 충돌이 얼마나 오래 ... ...
곤충세계의 해커들
과학동아
l
200207
수컷은 응답을 보낸 암컷에게 다가가 가짜 신호를 보낸 포투리스 암컷이라는 것을
더듬이
로 확인한 다음 사랑을 나눈다.암컷의 성 페로몬을 이용, 수컷을 유인하는 또 다른 예는 볼라스 거미에서 찾을 수 있다. 볼라스 거미는 끈적끈적한 거미줄을 한데 뭉쳐 공처럼 만들어 곤충을 잡는 돌팔매로 ... ...
까마귀 옆에 있는
더듬이
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05
까마귀자리 근처에는 곤충의
더듬이
모양을 한 천체가 있다. 이
더듬이
천체의 정체는 놀랍게도 우주 최대의 교통사고 현장이라고 하는데…웬만큼 별이 보이 ... 한다. 스치듯 지나갈지 정면으로 충돌할지는 잘 모르지만. 물론 먼 훗날의 얘기지만,
더듬이
은하의 일이 남의 일 같지 않다 ... ...
식스 센스 vs 디 아더스
과학동아
l
200203
그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 타고난 영매다. 급기야 콜 시어는 자신의 선생님에게 ‘말
더듬이
’라고 외치는 장면에서 자신의 육체에 유령을 불어넣는 능력도 보여준다. 영매로 따지면 1백년에 한번 태어날까 말까하는 천재적인 재능을 갖고 있는 것이다.우리나라에서는 영매를 ‘무당’이라 부른다. ... ...
크기 1.6광년 슈퍼개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02
사라진 것일까. 다리는 6개가 아니라 셀 수 없을 정도다. 아니 어느 것이 다리인지, 또는
더듬이
인지 잘 모르겠다. 단지 사진 왼쪽에 머리가 연상되는 부분에 먹이를 운반하거나 땅을 팔 때 쓰는 강력한 턱이 주둥이처럼 나와있고 몸통 부분이 실제 개미의 타원형 배를 닮았다.우연히 개미를 닮은 ... ...
향수감별사가 손 휘저으며 냄새 맡는 이유
과학동아
l
200106
연기는 바람 방향으로 흘러가면서 중간중간 끊어지는 모양이 된다. 연구팀은 나방이
더듬이
를 움직이는 것은 바람에 흩날리는 굴뚝 연기처럼 냄새와 깨끗한 공기의 불연속적인 냄새의 파동을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찬가지로 사람도 냄새를 맡을 때 코를 킁킁거림으로써 냄새의 파동을 ... ...
② 지능ㅣ제갈길 알아서 찾아가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04
있는가 없는가에 대한 새로운 기준이라고 말할 수 있다. 나방을 예로 들면, 나방의
더듬이
부분에는 두가지의 간단한 센서가 있는데 박쥐가 내는 초음파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런데 한가지 센서는 멀리 있는 박쥐의 초음파를 감지해 그 초음파가 날아오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날아가는 행위를 취하게 ... ...
이전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