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학원 탈출일지] 그곳에 행복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출발하고, 새로운 답을 제시하는 과정 또한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연구의 시작은 무엇을 연구할지 정하는 것, 곧 주제 잡기다. 대학원 탈출일지(40~42화)에서 주제 잡기는 ‘보물찾기’로 설명된다. 여러 지식들을 토대로 참신한 아이디어를 통해 아직 발견되지 않은 주제를 찾으면 된다는 ... ...
- [커리어] 과학과 의학 그리고 꿈이 만나는 현장, IBS 나노의학 연구단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원자에 맞춰졌을 땐 탄성이 터졌다. 류규환 독자(서울 신흥초 6학년)는 “물질의 가장 작은 단위를 직접 볼 수 있다니!”라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공부에 대한 열정이 다시 생겼어요.” 랩투어를 마치며 이효령 독자(아산 신창중 1학년)는 “이곳에 (연구원으로) 다시 오기 위해 열심히 ...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운이 좋다고 한 거야. 일단 이걸 착용하게.” 부국장은 이야기가 끝나자마자 옆에 놓인 작은 헬멧 하나를 내게 내밀었다. 복잡해 보이는 전선과 회로가 덕지덕지 붙은 헬멧은 아까 본 커다란 기계에 연결돼있었다.“이게 뭐죠?” “마더.” “네?” 부국장이 무심한 목소리로 답했다. “새로운 임무를 ... ...
- [과동키즈] “꿈이 있다면, 자신을 믿고 도전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 분야를 선택한 이유는 몇 가지가 있다. 먼저 거대한 시설로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입자를 연구한다는 사실이 멋졌다. 또 다른 이유는 대학원 진학 직후 발표된 한국형 중이온가속기 건설 계획이었다. 입자를 엄청난 에너지로 가속하는 가속기 시설은 핵물리 실험에 꼭 필요하다. 하지만 ... ...
- 별난 생물 이름 어떻게 지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몇 가지 간단한 규칙만 지킨다면 어떤 식으로든 만들 수 있어요. 생물 분류의 가장 작은 단위인 속의 이름(속명)과 종의 이름(종소명)을 나란히 적고, 기존의 다른 학명과 겹치지 않도록 지어야 하죠. 이 규칙 덕분에 전 세계의 모든 생물은 각각 다른 학명을 갖게 되었어요. 학명은 종의 겉모습을 ... ...
- [통합과학교과서] 달 도둑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반지름이 약 1737km인 달보다 400배나 커요. 가로, 세로, 높이가 1cm인 주사위가 1~2층짜리 작은 건물을 하나 가리는 셈이에요. 이런 현상이 어떻게 가능한 걸까요?눈에서 보이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물체는 점점 작게 보입니다. 태양은 지구에서 약 1억 5000만km 떨어져 있어요. 1초에 지구를 7바퀴 넘게 돌 수 ... ...
- [과학영상 읽어줌] 살아 움직이는 돌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스윽.’ 누가 건드리지도 않았는데 조금씩 움직이는 이 돌…. 정말 살아있는 걸까?! 무서우니까 여기 와서 나 마이보와 함께 미스터리의 진 ... 압력을 갑자기 낮추면 옥수수 껍질을 뚫고 수증기가 방출되면서 팝콘이 만들어지지요. 작은 용기 속에서 뿜어져 나오는 팝콘을 감상해 보세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다누리 미니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시간에는 다누리 미니블록을 조립해 볼 거예요. 다누리 미니블록은 레고처럼 작은 조립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어요. 우선 부품 중 가장 넓은 판을 꺼내 주세요. 바닥 역할을 할 판 위에, 다누리를 지탱할 기둥을 만들어 줍니다. 판이 완성되었다면 이제 다누리 몸체를 조립할 차례예요. 안내도를 따라 ... ...
- [양궁상] 청동기 화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추정했어요. 칼리야르프 운석은 기원전 1500년경 지금의 에스토니아에 떨어져 수많은 작은 파편을 만들어 냈지요. 연구를 이끈 베른 자연사박물관의 베다 호프만 지구과학국장은 “선사시대에는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철이 귀해 하늘에서 떨어진 운석을 재료로 활용했을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 ...
- [4컷 만화] 소음으로 조명을 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등하굣길 등 일상 곳곳에서 크고 작은 소음에 노출돼 있어요. 식당, 지하철 등 공공장소에서는 약 70~80dB(데시벨)이 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죠. 인도 라마이아연구소 전자통신학과 라젠드라 프라사드 교수팀은 이러한 소음을 전기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월 4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