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쌍둥이 소수는 2016년 발견된 2996863034895 1290000이다. 무려 388342 자릿수의 수다. 또 1018보다 작은 쌍둥이 소수 쌍은 808675888577436개나 된다. 한편 2, 23, 37, 47, 53처럼 쌍둥이 소수가 아닌 소수를 ‘고립 소수’라고 한다. 쌍둥이 소수 추측 실마리 잡다! 쌍둥이 소수 추측은 일반화된 뒤 ...
- [과학뉴스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사실이 알려졌다. 이번 발견을 통해 티라노사우루스류 육식공룡은 청소년기에는 작은 공룡을 사냥하는 중간 포식자였다가, 성장하면 거대 초식공룡을 사냥하는 최상위 포식자로 먹이의 종류가 바뀐다는 점이 드러났다. 연구팀은 이 결과에 대해 육식공룡의 어린 개체와 성체가 생태계에서 다른 ...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발생시킨 소용돌이와 지느러미가 점진적으로 실속을 일으키는 특성 덕분에, 혹등고래는 작은 받음각부터 더 큰 받음각까지 폭넓게 꾸준히 양력을 만듭니다. 논문은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공식과 실제 실험 결과를 비교해,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이 정확하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이 논문에 따르면 ... ...
-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짜리 논문에서 시작된 리만 가설 리만이 이름을 날린 건 1859년 발표한 ‘특정 수보다 작은 소수의 개수에 관하여’라는 6쪽의 짧은 논문이다. 베를린 학술원에 가입하기 위해 학술원 간행물에 냈다. 이 논문에서 리만은 가우스가 만든 공식 Li(x)와 실제 개수 사이에 나타나는 오차를 줄여 줄 방법을 ... ...
- [Chapter4] 악마, 불법, 나선 … 별별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수학자의 소수를 향한 절절한 사랑이 느껴지는 별별 이름의 소수를 소개한다. 그 시작은 소수계의 슈퍼스타 ‘쌍둥이 소수’다. 쌍둥이 소수는 소수만 쭉 나열했을 때, 간격이 딱 2 차이 나는 소수 쌍을 말한다. (3, 5), (5, 7), (11, 13)을 쌍둥이 소수라고 한다. 소수를 p라고 하면 (p, p+2)라고 할 수 있다 ... ...
- RSA 암호의 핵심 원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소인수분해를 쉽게 하는 알고리듬이 아직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작은 소수부터 차례로 나눠떨어지는지 확인하는 수밖에는 다른 도리가 없다. 즉 두 개의 소수를 곱하기는 쉽지만, 반대로 어떤 수를 소인수분해 하는 것은 어렵다는 말인데, RSA 암호는 정확히 이 성질을 이용한다. ...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여행이 13억 년 전에 이뤄졌음을 밝혔습니다. 13억 년 전은 초대륙 컬럼비아가 분열돼 더 작은 대륙으로 쪼개지던 시기였습니다. 즉 대륙의 분열로 좁지만 틈이 생기면서 램프로이트 암석이 지표면까지 솟구쳐 오를 수 있는 길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초대륙 컬럼비아는 아가일 광산에서 채취되는 ... ...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보였습니다. 아마 과학동아 독자분들이라면 기사를 읽으면서 한번은 보셨을 겁니다. 이 작은 글씨는 각 문장에서 소개하고 있는 논문의 ‘DOI’입니다. DOI를 이용하면 인터넷에서 쉽게 논문 원문을 찾아 읽어볼 수 있죠. DOI가 뭐길래 이런 일을 가능하게 할까요? DOI는 ‘Digital Object Identifier(디지털 ...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지구사랑탐사대의 새로운 리더 등장! 자연과인간 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잘 먹는 지렁이를 직접 찾아오느라 집에 늦은 적도 있지요. 사마귀를 방생할 때 날개에 작은 표시를 했는데 나중에 같은 장소에서 다시 발견하기도 했어요. Q. 나중에 해보고 싶은 일이나 꿈이 있나요? 일본 남쪽 오키나와 지역에 있는 난세이 제도에 가보고 싶어요. 아열대 생물에 관심이 ... ...
- 여성 수학자의 열정 담기다, 소피 제르맹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알고리듬을 만들면 해독이 더 어려워진다. 해독이 어려운 이유는 p - 1의 인수 가운데 작은 수는 많지 않아 이 수를 인수분해 하기가 쉽지 않고 그에 따라 암호화하면 보다 높은 안전성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현대 사회까지 영향을 주는 의미 있는 결과를 남겼음에도 1831년 암으로 세상을 떠날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