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의 향방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468만 2000t으로 전체의 39%를 차지한다. 적어도 전체 플라스틱 폐기물의 39%는 생활 속 작은 변화로 줄일 수 있다는 뜻이다. 빨대, 무엇이 ‘친환경’일까 뭐부터 줄여야 할까. 일회용품 감축을 위한 계도기간이었던 2023년, 타겟은 플라스틱 빨대와 비닐봉투, 그리고 일회용 컵이었다. 그중 플라스틱 ... ...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장애물 사이의 틈을 지나며 그 주변으로 퍼지는 현상입니다. 태양 빛이 구름 사이 작은 틈으로 퍼져 나오는 걸 본 적이 있나요? 어딘가 성스러워 보이는 이 모습도 빛이 회절하며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입니다. 둥글게 형성되는 무지개 한가운데에 관찰자인 사람의 그림자가 비치는 걸 발견할 수도 ... ...
- 피자를 공평하게 먹는 방법!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같은 조각으로 서로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만드는 퍼즐이다. 두 사람은 8조각을 각각 더 작은 조각으로 나눈 뒤 똑같은 모양으로 2개씩 짝지어 해결했다. 2012년 수학자 그렉 프레드 릭슨은 8보다 크거나 같으며, 4로 나뉘는 모든 수에 대해 이 문제를 풀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일명 ‘피자 정리’! ... ...
- 자연의 절대 법칙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방정식을 만들어 설명했다. 확산제보다 억제제의 반응 속도가 빠르면 치타처럼 작은 점박이 무늬밖에 만들 수 없다. 확산제가 퍼져 나갈 때 억제제가 빠르게 둘러싸기 때문이다. 억제제와 확산제의 속도가 막상막하일 땐 어떨까? 인근에서 퍼져 나가는 확산제끼리 만나 미로 무늬나 줄무늬를 ... ...
- [특집] 가뭄에 막힌 내 택배? 파나마 운하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잔뜩 주문했어.그런데 아무리 기다려도 택배가 오지 않네? 태평양 건너 중남미에 위치한 작은 나라, 파나마에 닥친 기후위기 때문이라는데…. 대체 무슨 일이 있었을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가뭄에 막힌 내 택배? 파나마 운하Part1. 가뭄으로 뱃길이 막혔다!Part2. 배가 산으로 ... ...
- [그래픽] 특명: 양자나노과학을 알려라!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임무다. STM은 뾰족한 탐침으로 마치 점자를 읽듯 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의 아주 작은 세계를 들여다보는 장비다. 그중 ESR-STM은 단일 원자의 스핀 상태를 볼 수 있다. IBS 양자나노과학 연구단은 원자나 분자를 양자컴퓨터의 기본 연산 단위 ‘큐비트(qubit)’로 이용하기 위해 ESR-STM의 각 부분을 ... ...
-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적 있어요?” (아뇨.) “2017년에 로마 여행을 갔는데, 침대 시트에 새끼 손톱 크기만큼 작은 핏방울이 묻어 있는 거예요. 그 때까지도 몰랐어요. 빈대의 식사 자국이란 걸. 그 뒤로 일주일 동안 너무 가려워서 자다가도 깨서 온몸을 벅벅 긁을 정도였어요.” 이 대화는 2023년 9월, 프랑스 파리가 ... ...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오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원리 - 부족한 전자를 공급하라 그렇다면 어떻게 크고 작은 부품에 얇은 금속층을 빈틈없이 씌울 수 있는 것일까. 도금에서 주로 쓰는 방법은 전해질에 녹아있는 금속 이온을 고체 금속으로 석출하는 방법이다.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구리가 녹은 전해질 용액을 ... ...
- [대학원 탈출일지] 그곳에 행복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출발하고, 새로운 답을 제시하는 과정 또한 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연구의 시작은 무엇을 연구할지 정하는 것, 곧 주제 잡기다. 대학원 탈출일지(40~42화)에서 주제 잡기는 ‘보물찾기’로 설명된다. 여러 지식들을 토대로 참신한 아이디어를 통해 아직 발견되지 않은 주제를 찾으면 된다는 ... ...
- [커리어] 과학과 의학 그리고 꿈이 만나는 현장, IBS 나노의학 연구단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원자에 맞춰졌을 땐 탄성이 터졌다. 류규환 독자(서울 신흥초 6학년)는 “물질의 가장 작은 단위를 직접 볼 수 있다니!”라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공부에 대한 열정이 다시 생겼어요.” 랩투어를 마치며 이효령 독자(아산 신창중 1학년)는 “이곳에 (연구원으로) 다시 오기 위해 열심히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