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집안일 하다 떠올린 팬케이크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접어둔 수건을 크기에 맞게 다시 정렬해야겠다고 생각했다. 크기가 큰 수건이 아래에, 작은 수건이 위에 오도록 말이다. 그런데 이미 방이 가득 차서 새로 더미를 놓을 자리가 없었다. 굿맨은 이미 만든 수건 더미를 뒤집어 가며 크기순으로 정렬하기로 했다. 그러는 동안 흥미로운 질문이 떠올랐다 ... ...
- [SF 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빌려온 책의 내용을 요약해줄 수 있나요?”선은 기숙사 방문 앞에 놓여있던 바퀴 달린 작은 테이블을 끌고 들어오며 답했다.“어차피 선생님은 다 아시는 내용일 텐데요?”“저는 듣고 싶군요.”“음, 알겠어요.”선이 끌고 들어온 테이블 위에는 식물성 재료로 만든 완자와 채소, 과일이 담긴 큰 ... ...
- [커리어] 과학과 의학 그리고 꿈이 만나는 현장, IBS 나노의학 연구단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원자에 맞춰졌을 땐 탄성이 터졌다. 류규환 독자(서울 신흥초 6학년)는 “물질의 가장 작은 단위를 직접 볼 수 있다니!”라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공부에 대한 열정이 다시 생겼어요.” 랩투어를 마치며 이효령 독자(아산 신창중 1학년)는 “이곳에 (연구원으로) 다시 오기 위해 열심히 ... ...
- 자연의 절대 법칙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방정식을 만들어 설명했다. 확산제보다 억제제의 반응 속도가 빠르면 치타처럼 작은 점박이 무늬밖에 만들 수 없다. 확산제가 퍼져 나갈 때 억제제가 빠르게 둘러싸기 때문이다. 억제제와 확산제의 속도가 막상막하일 땐 어떨까? 인근에서 퍼져 나가는 확산제끼리 만나 미로 무늬나 줄무늬를 ... ...
- [가상 인터뷰] 물곰 족보에 등장~. 그린란드에서 신종 물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물곰이라니, 곰처럼 덩치가 큰 벌레야? 물곰은 눈에 간신히 보일 정도로 아주 작아. 작은 것은 0.1mm도 안 되고 가장 큰 물곰은 1.5mm 정도란다. 머리를 빼고 몸 마디는 4개가 있는데, 각 마디에 다리 한 쌍이 있어. 총 8개의 다리로 아주 천천히 걸어 다니는데, 걷는 모습이 마치 곰과 비슷하고 주로 ... ...
-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적 있어요?” (아뇨.) “2017년에 로마 여행을 갔는데, 침대 시트에 새끼 손톱 크기만큼 작은 핏방울이 묻어 있는 거예요. 그 때까지도 몰랐어요. 빈대의 식사 자국이란 걸. 그 뒤로 일주일 동안 너무 가려워서 자다가도 깨서 온몸을 벅벅 긁을 정도였어요.” 이 대화는 2023년 9월, 프랑스 파리가 ... ...
- 당신의 생각보다 더 많은 것을 담고있다 'DNA와 체액'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오차로 맞출 수 있다. 미생물이 알려주는 체액의 역사 앞치마에 묻어있던 아주 작은 조직에서 DNA를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 DNA의 메틸화 패턴을 분석한 결과, 이 조직이 임 씨의 심장 부근에서 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임 씨는 사망한 게 맞았다. 이제 남은 퍼즐은 단 하나. 호 씨가 임 씨를 ... ...
- 피자를 공평하게 먹는 방법!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같은 조각으로 서로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만드는 퍼즐이다. 두 사람은 8조각을 각각 더 작은 조각으로 나눈 뒤 똑같은 모양으로 2개씩 짝지어 해결했다. 2012년 수학자 그렉 프레드 릭슨은 8보다 크거나 같으며, 4로 나뉘는 모든 수에 대해 이 문제를 풀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일명 ‘피자 정리’! ... ...
-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울음소리 수학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라라~’하고 리듬 없이 운다. 사랑의 세레나데를 부르는 건 수컷이다. 수컷 매미가 작은 몸집으로도 우렁차게 소리 낼 수 있는 비결은 몸속이 절반 이상 비어 있기 때문이다. 마치 나무로 된 기타의 속이 비어 있는 것처럼 말이다. 기타 줄을 튕기는 것처럼 매미는 양쪽 옆구리에 달린 진동막을 튕겨 ... ...
- [그래픽] 특명: 양자나노과학을 알려라!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임무다. STM은 뾰족한 탐침으로 마치 점자를 읽듯 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의 아주 작은 세계를 들여다보는 장비다. 그중 ESR-STM은 단일 원자의 스핀 상태를 볼 수 있다. IBS 양자나노과학 연구단은 원자나 분자를 양자컴퓨터의 기본 연산 단위 ‘큐비트(qubit)’로 이용하기 위해 ESR-STM의 각 부분을 ... ...
이전5678910111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