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개물
매질
매체
전도체
뉴스
"
도체
"(으)로 총 120건 검색되었습니다.
1000시간 사용해도 끄덕 없는 튼튼한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31
가진 전지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 페로브스카이트 (perovskite)란? 부
도체
, 반
도체
,
도체
의 성질은 물론 초전도 현상까지 보이는 특별한 구조의 금속 산화물. 회티타늄석이라고도 하며 사면체나 팔면체, 입방체의 결정이 있다. 화학소재를 결합해 만드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소재가 ... ...
머리카락 두께 10만 분의 1, 차세대 웨어러블 소자 개발
2016.03.16
소자의 성능 최적화 기술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조 연구원은 “2차원
도체
소재와 반
도체
소재를 접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점이 이번 연구의 가장 중요한 성과”라며 “웨어러블 컴퓨터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나노분야 최고 권위지인 ... ...
차세대 전자소재 ‘강유전체’ 원리 첫 규명
2016.03.08
송승우 포항공대 연구원. - 포항공대 제공 전기가 흐르는
도체
는 외부에서 전기를 계속 공급해야만 전기적 또는 자기적 성질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하지만 ‘강유전체’로 불리는 일부 물질은 외부 전기 없이도 스스로 전기적 분극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런 물질은 높은 힘이나 강한 전기를 ... ...
황북기 교수님의 따끈따끈 실험교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2.15
바로 ‘맴돌이 전류’! “구리나 철처럼 전기가 잘 통하는
도체
옆에서 자석이 움직이면
도체
에 전류가 흘러요. 이 전기를 ‘맴돌이 전류’라고 한답니다. 구리관에 자석을 떨어뜨린 순간, 구리관에 생겨난 맴돌이 전류가 자석의 움직임을 방해한 거지요. 아래로 떨어지던 자이로드롭을 멈추게 하는 ... ...
원자 한 층, 세상에서 가장 얇은 ‘그래핀 포장지’
2015.11.04
특성을 3차원 소자에 적용할 수 있게 됐다”며 “이번에 개발한 그래핀 코팅 기술로 부
도체
를 감쌀 경우 표면이 금속처럼 작동하면서도 유연하게 잘 휘어져 차세대 소자 제작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과학 분야 권위지인 ‘나노스케일(Nanoscale)’ 10월 29일 자 ... ...
전기 통하는 新 부
도체
찾았다
2015.10.09
연구위원. - IBS 제공 최근 국내 연구진은 폴리아세틸렌 외에 전류가 흐르는 새로운 부
도체
를 발견했다. 염한웅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자제어저차원전자계 연구단장(포스텍 물리학과 교수)과 이성훈 연구위원팀은 인듐 원자를 하나씩 연결해 만든 가느다란 사슬인 ‘원자 전선’에서 전자를 원하는 ... ...
도체
-부
도체
자유자재로 바꾸는 기술 첫 상용화
2015.09.09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반응하는 다양한 MIT 소자를 연구하고 있다. 원하는 대로
도체
와 부
도체
를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을 이용해 기존의 전기기기 설계를 바꿔 놓겠다는 게 목표다. 김 센터장은 “소방안전시설이나 가정용 누전 차단기를 비롯해 대부분의 전기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면서 “10년 ... ...
레이저 쪼여 50배 빠른 초박막 반
도체
개발
2015.08.07
반
도체
와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저항이 30~40배 줄었기 때문이다. 양 연구위원은 “반
도체
상용화를 위해서는 현재 1㎠ 수준인 MoTe2를 대면적으로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 ...
금을 반
도체
로 쓴다구요? 이렇게 해보세요
2015.07.22
원자들이 달라붙은 입자들을 제거했다. 그 결과 금 입자는 1.6nm 수준으로 작아졌고 반
도체
성질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 나노입자가 포함된 용액이 자외선을 흡수해 보라색 빛을 내뿜고 있다. - 재료연구소 제공 연구진은 이 금 입자가 태양빛에서 자외선 영역을 흡수해 500~600nm 파장의 가시광선 ... ...
온도 하나로 반
도체
와
도체
넘나드는 신기한 금속
2015.05.05
웨어러블 기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양 연구위원은 “실리콘 반
도체
웨이퍼처럼 대면적으로 제작하는 기술과 표면 가공 기술 등을 추가로 개발해야 상용화가 가능하다”면서 “5년 내에 산업 전반에 응용할 수 있는 소자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