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개물
매질
매체
전도체
뉴스
"
도체
"(으)로 총 120건 검색되었습니다.
UNIST·삼성전자, 전기 적게 쓰고 정보처리 속도 빠른 반
도체
용 소재 내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전략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현진 전문연구원은 “이번 연구결과는 반
도체
산업계에서 기술적 난제로 여겨지던 부분에 대해 학계와 산업계가 함께 해결방안을 찾아낸 모범적 사례”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실, 중견연구 및 IBS, 삼성전자의 ... ...
달 콘크리트의 원료 ‘트로일라이트’엔 전류가 흐른다?
과학동아
l
2020.05.05
델레어 듀크대 기계공학 및 재료과학과 교수는 “자기 스핀을 조절한 결과 금속이 부
도체
로 변했다”며 “이런 특성을 새로운 개념의 컴퓨터 장치를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67-020-0857-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확률컴퓨터는 양자컴퓨터 짝퉁일까
2019.11.05
작게 만들어 나노자석을 구현했다. 자기터널접합 소자는 강자성체 두 층 사이에 부
도체
층이 있는 샌드위치 구조다. 강자성체 한 층은 영구자석처럼 극성이 고정돼 있고 다른 층은 연결된 트랜지스터의 전류 방향에 따라 극성이 바뀐다. 이때 두 강자성체의 극성이 같으면 낮은 저항값을, 다르면 ... ...
그래핀 전기적 성질 높일 '질소도핑' 기발한 방법으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19.11.03
널리 활용된다. 그래핀은 탄소만으로 구성된 단일 원자 소재로 티틈 조절이 어렵고, 반
도체
로 활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불순물을 섞어 띠틈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도핑이 많이 사용된다. 주로 질소 도핑을 하는데, 안정한 질소 기체(N2)를 질소 원자(N)로 ... ...
ESS 성능 끌어올릴 새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19.10.31
전기전도도는 이미 충분히 높다. 유정우 UNIST 교수는 “리간드 산화에 따라 부
도체
이던 2차원 금속유기구조체에 전기 전도성이 유도된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더 나아가 리간드 산화에 따라 MOF의 스핀 농도를 증가시켜 자성을 구현할 수 있음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로드니 루오프 ... ...
서로 다른 물질 붙여 전류 방향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일자에 발표됐다. 어떤
도체
소재의 양 끝단에 서로 다른 크기의 전압을 가하면 전압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전압이 높은 방향을 서로 바꾸면 크기가 같은 전류가 방향만 반대로 흐른다. 하지만 서로 ... ...
피승호 SK하이닉스 전무·이종원 웨트러스트코리아 연구소장 산업훈장
동아사이언스
l
2019.10.02
받았다. 또 부
도체
에 전자를 입력하는 낸드플래시 메모리 기술인 차지트랩플래시와, 반
도체
의 셀 작동을 관장하는 회로인 페리를 데이터 저장 영역인 셀 아래에 배치해 공간 효율을 높이는 기술인 PUC를 결합한 96단 4차원 낸드플래시메모리를 개발해 차세대 플랫폼을 완성하는 등 산업발전에 크게 ... ...
그래핀을 초전
도체
로 만드는 마법의 각 1.1도, 원인 규명에 한 걸음 더
동아사이언스
l
2019.08.01
얽히는 징후를 보인 것이다. 이는 전자 간 반발 작용으로 얽히는 현상을 보이는 고온 초전
도체
와는 다른 특성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야즈다니 교수는 “얽힘이 발생한다는 것은 알아냈지만 얽힘의 유형을 밝혀내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며 “우리는 이제 미지의 영역의 표면을 실험과 이론 ... ...
출범 8년 배출 스타트업만 29개…스마트 융합기술로 유니콘 기업의 요람을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받고 있다. 부
도체
를 이용한 유선통신으로, 무선통신에서 사용되는 두 안테나 사이를 부
도체
라인으로 연결하여 무한에 가까운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어 기존 무선통신 대비 수 천 배 향상된 전력 효율을 갖는 기술이라는게 경 단장의 설명이다. 경 단장은 “4차산업혁명 시대에 중요한 것은 ... ...
“무어의 법칙 한계를 뛰어넘어라”… 차세대 정보저장 기술개발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MRAM은 정보 처리가 빠르고 전원을 꺼도 정보가 사라지지 않아 지금의 주력 메모리반
도체
인 디램(DRAM)을 대체할 후보로 꼽힌다. IBM은 도메인 사이의 경계를 움직여서 정보를 저장하는 또 다른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또 다른 차세대 자성기술인 ‘밸리트로닉스’ 연구도 활발하다. 전자의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