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매개물
매질
매체
전도체
뉴스
"
도체
"(으)로 총 12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렇게 얇을 수가! 원자 5개 두께 반
도체
소자 개발
2015.04.28
반
도체
로 주목 받는 이황화몰리브덴의 활용 가능성을 처음으로 입증했다”며 “실제 반
도체
소자로 개발하게 되면 투명하고 휘어지는 전자기기를 만드는 데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두께 3nm, 세계에서 가장 얇은 반
도체
개발
2015.03.25
종잇장처럼 얇은 컴퓨터를 만들 수 있다. 학계에서는 이황화몰리브덴이 차세대 반
도체
소재로 사용될 가능성을 처음 확인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했다. 연구진은 국내외에 이 기술에 대한 특허 출원을 준비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4일자에 게재됐다. ... ...
두둥! 그래핀 위에서 저절로 자라는 나노와이어 발견
2015.03.24
폭이 10nm 정도인 좁은 띠 형태로 만든 것으로 그래핀 자체가
도체
임에도 불구하고 반
도체
와 같은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제작방법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금 나노와이어가 생성된 그래핀을 플라스마 가스와 반응시켜 그래핀 나노리본을 얻어내는 데 성공했다. 금 ... ...
차세대 반
도체
, 이렇게 하면 뚝딱
2015.02.11
촉진제를 써서 단일층의 이황화몰리브데늄을 얻는 데 성공했다. 이 단장은 “차세대 반
도체
산업을 이끌 핵심 소재를 원하는 위치에 만드는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관련 응용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 ‘네이처 ... ...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2015.02.08
크기가 작아지면서 새로이 나타나는 효과를 양자역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체
의 크기가 아주 작아지면 옴의 법칙(V=IR)이 성립하지 않는다. 전압에 따라 전류가 불연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이다(불연속은 양자역학의 트레이드마크다!). 또 강한 자기장에 놓인 전자의 전기전도도는 외부 ... ...
양자역학 없는 세상
2015.02.01
화면의 정보는 0과 1의 디지털 신호로 메모리에 저장해야한다. 메모리는 축전기라 불리는
도체
다. 여기에 전자가 들어있으면 1, 없으면 0이다. 이렇게 전자를 축전기에 넣거나 뺄 때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4GB의 메모리라는 말은 40억 개의 트랜지스터와 축전기가 있다는 뜻이다. 과학동아(일러스트 ... ...
[과학기자의 문화 산책] 정전기 무서워 커피 못마신다구요?
2015.01.04
발생 빈도에 차이가 난다”고 말한다. 70%가 수분으로 이뤄진 우리 몸은 전기적으로 ‘
도체
’다. 건강에 지장이 없는 정도지만 적은 양의 전자가 신체 일부에 쌓여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정전기는 이런 전자가 갑자기 흐르면서 생기는 충격으로 전압이 1000~3000V 정도가 되는 경우 따끔한 느낌을 들게 ... ...
미래 에너지 ‘핵융합’, 한국 부품으로 첫 단추
2014.12.02
것으로 보인다. 핵융합연 측은 “ITER 참여국 가운데 가장 먼저 조달을 완료해 초전도
도체
제작 분야에서의 기술력이 세계 정상급 수준임을 입증한 것”“이라며 “앞으로 ITER 사업에서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 ...
회로 두께 딱 1nm, 나노 반
도체
나오나
2014.11.05
갖도록 만들었다. 또 연구팀은 외부에서 자기장을 가해 인듐 원자선의
도체
적 성질과 부
도체
적 성질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보이고, 그 원리를 이론적으로 규명했다. 조 교수는 “이번 연구로 미래 나노 전자소자로 주목 받고 있는 1차원 인듐원자선의 새로운 성질을 발견했다”며 ... ...
유리 투명전극을 LED에?
2014.08.20
균일하게 더 밝게 빛난다. -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유리와 같은 부
도체
에 전류가 흐르게 하는 기술을 이용해 차세대 조명과 광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돌파구를 찾았다. 김태근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은 유리 투명전극 기술을 발광다이오드(LED)에 적용하는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