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철사
전선
철사줄
와이어로프
로프
wire
뉴스
"
와이어
"(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회로도 3D프린터로 인쇄하세요
과학동아
l
2019.05.01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17일자에 발표했다. 현재 나노잉크로 사용되는 은나노
와이어
는 은입자가 무작위로 붙어 있어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에서는 일정한 두께의 패턴을 인쇄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3D프린터로 인쇄한 뒤 이를 다듬어 깎아내기 위한 열처리나 화학적 처리 ... ...
나방 눈 구조 모방해 비가 오나 해가 뜨나 전기 생산하는 유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가리기 때문에 발전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며 “우리 연구팀은 은나노
와이어
를 쓴 전극을 쓰고 나방 눈 표면 구조를 이용해 빛 흡수 효율을 높여 그런 단점을 상쇄했다. 태양광 발전과 비 오는 날 마찰전기 생산 모두 할 수 있으며 자기세정 효과로 유지보수비용도 적은 태양광 패널을 ... ...
배터리 충전 속도 5배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구조로 설계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마치 머리카락 뭉치처럼, 가늘고 긴 실리콘 나노
와이어
를 뭉쳐 겉에서 보기에 다공성을 띠는 소재를 만들었다. 부피가 팽창해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후 이 소재를 밀집시킨 뒤 나노미터 두께의 얇은 탄소 막을 씌웠다. 이렇게 만들어진 실리콘 ... ...
혈관 속에서 자유자재 소프트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휠 수 있어 복잡한 혈관도 지나갈 수 있다. 사진 제공 DGIST 연구팀은 이 로봇을 가이드
와이어
끝 부분에 달고 혈관 안에 이 로봇을 넣었다. 그 뒤 펜처럼 생긴 긴 막대 조종기를 이용해 상하좌우 및 전진 후퇴 등의 움직임을 명령하고, 이 명령을 읽은 기기가 환자의 몸에 자기장을 변화시키도록 로봇 ... ...
UNIST, 접는 천연색 발광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PeLED는 금속 전극의 한계로 유연성이 낮고 불투명했다. 연구진은 투명하고 유연한 은나노
와이어
와 전도성 고분자를 전극으로 활용했다. 고분자 전해질을 도입해 전자가 더 잘 이동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소자 성능을 높였다. 이렇게 개발한 PeLED는 기존 대비 투명도가 50% 수준으로 높아졌다. 2.5㎜ ... ...
밤에도 전기 생산하는 태양전지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원자 배열 일부분이 압전 효과를 낼 수 있는 구조임을 발견했다. 이를 토대로 나노
와이어
의 모든 원자 배열을 압전 효과를 낼 수 있는 구조로 바꿨다. 이렇게 만든 새로운 구조의 태양전지 반도체 물질은 외부 압력에 의해 기울어졌을 때 압전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 단장은 “낮에는 ... ...
전기 잘 통하는 고무로 환자 맞춤형 치료…임플란트-웨어러블 의료기기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8.14
은 나노
와이어
를 SBS 합성수지를 섞은 뒤 건조시켜 굳혔다. 그 결과, 고무 안에 금-은 나노
와이어
가 그물망 구조로 얽힌 금-은 나노복합체 전도성 고무가 됐다. 이번에 개발된 전도성 고무는 8.4배까지 늘린 상태에서도 ㎝당 3만 S(전도율 단위·1S는 전압이 1V 걸렸을 때 1A의 전류를 통과시키는 전도율) ... ...
실 모양 태양전지 개발…옷에 넣는 웨어러블 기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7
투명한 튜브에 싸여 있는 형태다. 연구진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음전극 역할의 티타늄
와이어
표면을 미세한 패턴으로 산화시켜 빛의 접촉면적을 늘렸다. 아직까지 출력 전압은 0.7V로 작은 시계에 들어가는 상용 수은전지(1.35V)의 절반 수준이다. 하지만 지름이 1㎝인 빨대 위에 돌돌 말아도 ... ...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은나노섬유로 해결
과학동아
l
2018.07.26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연구팀은 전도성이 좋은 은나노섬유와 촘촘한 은나노
와이어
를 배합해 기존보다 10배가량 전도도가 높은 투명전극을 제작했다. 이를 이용해 정전식 지문 센서를 제작하자 기존 센서에 비해 민감도가 17배가량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1V 정도의 낮은 전압과 1MHz ... ...
스마트폰 지문인식, 화면 어디를 눌러도 상관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04
만들었다.-UNIST 제공 연구팀은 지름 100㎚(나노미터, 10억분의 1m)인 은나노섬유와 은나노
와이어
를 무작위로 엮는 네트워크를 구성해 정전식 지문센서를 설계했다. 그 결과 센서해상도가 318CPI(인치 당 커패시터수)로 기존 투명소재인 인듐주석산화물(ITO)로 구성한 제품보다 최대 17배 더 좋게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