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철사
전선
철사줄
와이어로프
로프
wire
뉴스
"
와이어
"(으)로 총 166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소형 회로제작에 쓰이는 '나노
와이어
' 배치·정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 지난 6월 7일자에 발표됐다. 이산화바나듐 나노
와이어
어레이 성장과정 모식도 및 주사전사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냈다. KIST 제공 ... ...
119가지 촉감 느끼는 '인공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팀은 실험에 사용한 프로토타입 외에도, 모든 전극과
와이어
가 안쪽에 장착돼 있어 쉽게 휴대할 수 있는 무선 루크 암을 개발할 계획이다. 연구팀은 루크 암을 낀 사람이 사물의 특성에 따라 힘 조절을 할 수 있도록 실제 손을 흉내 낸 신경근육 시스템을 ... ...
누르면 위치와 압력 정확히 인식하는 3D 터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장치의 원리. 은 나노 입자와 레이저를 이용해 미세 물결 구조를 만들고, 투명한 나노
와이어
전도체와 포개 만들었다.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그 부분의 위치와 압력 세기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팀이 3차원 위치와 압력 정보를 동시에 인식하는 투명하고 유연한 ... ...
섬유 실을 발열소재로 만드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투명하고 기계적인 유연성이 뒷받침돼야 한다. 기존 발열 소자는 금속 나노
와이어
나 그래핀, 산화 그래핀을 환원시키는 방식으로 개발됐다. 이 소재들은 재료비가 비싸고 기계적인 유연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그래핀의 경우 대면적으로 제작하는 공정을 개발하기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⑧불편한 어깨와 손 동작 돕는 재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물건을 집거나 옮기거나, 심지어 스스로 이를 닦을 수 있다. 모터 등 전자부품이 아닌,
와이어
만으로도 손을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어 의료기기 인허가까지 받은 로봇은 엑소 글러브 폴리가 최초다. 권 기술연구팀장은 “현재 마지막 테스트를 거쳐 이르면 2020년에는 재활의료기기로 출시할 수 ... ...
전자회로도 3D프린터로 인쇄하세요
과학동아
l
2019.05.01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17일자에 발표했다. 현재 나노잉크로 사용되는 은나노
와이어
는 은입자가 무작위로 붙어 있어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에서는 일정한 두께의 패턴을 인쇄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3D프린터로 인쇄한 뒤 이를 다듬어 깎아내기 위한 열처리나 화학적 처리 ... ...
나방 눈 구조 모방해 비가 오나 해가 뜨나 전기 생산하는 유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가리기 때문에 발전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며 “우리 연구팀은 은나노
와이어
를 쓴 전극을 쓰고 나방 눈 표면 구조를 이용해 빛 흡수 효율을 높여 그런 단점을 상쇄했다. 태양광 발전과 비 오는 날 마찰전기 생산 모두 할 수 있으며 자기세정 효과로 유지보수비용도 적은 태양광 패널을 ... ...
배터리 충전 속도 5배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구조로 설계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마치 머리카락 뭉치처럼, 가늘고 긴 실리콘 나노
와이어
를 뭉쳐 겉에서 보기에 다공성을 띠는 소재를 만들었다. 부피가 팽창해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후 이 소재를 밀집시킨 뒤 나노미터 두께의 얇은 탄소 막을 씌웠다. 이렇게 만들어진 실리콘 ... ...
혈관 속에서 자유자재 소프트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휠 수 있어 복잡한 혈관도 지나갈 수 있다. 사진 제공 DGIST 연구팀은 이 로봇을 가이드
와이어
끝 부분에 달고 혈관 안에 이 로봇을 넣었다. 그 뒤 펜처럼 생긴 긴 막대 조종기를 이용해 상하좌우 및 전진 후퇴 등의 움직임을 명령하고, 이 명령을 읽은 기기가 환자의 몸에 자기장을 변화시키도록 로봇 ... ...
UNIST, 접는 천연색 발광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PeLED는 금속 전극의 한계로 유연성이 낮고 불투명했다. 연구진은 투명하고 유연한 은나노
와이어
와 전도성 고분자를 전극으로 활용했다. 고분자 전해질을 도입해 전자가 더 잘 이동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소자 성능을 높였다. 이렇게 개발한 PeLED는 기존 대비 투명도가 50% 수준으로 높아졌다. 2.5㎜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