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철사
전선
철사줄
와이어로프
로프
wire
뉴스
"
와이어
"(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추락 직전의 사람들
팝뉴스
l
2017.03.12
기술을 썼을 것이라는 게 해외 네티즌들의 추정이다. 두 장의 사진을 합성했거나 로프나
와이어
를 사용했다가 지웠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또 사진의 포스트 프로덕션 과정에서 모종의 작업이 진행되었을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사진들은 실제라고 믿을 수가 없다. 그런데 사진은 실제처럼 ... ...
나노
와이어
하나하나 옮겨 성능 높은 반도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22
기판 위에 옮기고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를 구현했다”며 “이 기법을 다양한 나노
와이어
물질에 적용하면 향후 고성능 웨어러블 전자 소자 구현에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 지난 달 30일자에 실렸다. ... ...
휘어지는 기판에도 철썩...잘 달라붙는 투명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2.07
후 은 나노
와이어
가 그물망처럼 연결된 모습. - KAIST 제공 또 플래시광의 적외선은 기판과
와이어
사이의 접촉력을 높이는 데 활용했다. 기판과 전극 사이의 열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접착력이 3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휘어도 전극이 잘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이란 ... ...
위조지폐·위조여권… 적외선만 쪼이면 한 번에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06
적외선을 쪼여도 문양이나 색깔이 나타나지 않는다. 고 연구원은 “나노형광체와 은 나노
와이어
가 제조환경에 매우 민감한 소재여서 기존 기술에 비해 복제가 매우 어렵다”고 설명했다. 고 연구원은 “보안성이 뛰어나면서도 저비용으로 대량 제작이 가능해 지폐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 ...
사물인터넷 핵심기술 ‘광센서’ 전력 소모량 확 줄였다
2016.11.24
못했다. GIST 연구진은 산화아연(ZnO)
와이어
의 외부를 황화아연(ZnS)으로 코팅한 합성 나노
와이어
를 새롭게 개발했다. 이를 이용해 제작한 광센서는 외부의 압력이 가해졌을 때 더 높은 전압이 발생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광센서(아래)는 기존 센서보다 에너지 효율이 획기적으로 개선됐다. - GIST ... ...
값비싼 OLED 가격 ‘뚝’ 떨어진다
2016.10.31
새로운 투명전극을 만들었다. 전기가 잘 통하지만 표면이 거칠고 쉽게 산화되는 은 나노
와이어
의 단점을 아연 산화물로 보완했고, 전도성 고분자로 표면의 전류 흐름을 개선했다. 이렇게 만든 투명 전극은 전력 효율을 기존보다 23% 이상 높아졌다. 주 교수는 “기존에는 전극에 ‘인듐 주석 ... ...
한계 드러난 세월호 인양…선미들기 '플랜B'로 변경
포커스뉴스
l
2016.10.31
식이다. 스트랜드 잭업장치는 펌프 유압으로
와이어
양쪽을 나란히 들어 올려
와이어
로 인한 선체 손상우려가 적다는 게 해수부 측의 설명이다. 연영진 세월호선체인양추진단장은 “지금 리프팅빔이 다 들어간 다음에 약 한 달 정도 기간을 보고 있다”며 “동계 철이라는 변수가 많지만 동계철 ... ...
9층 건물 밖에 매달린 차
2016.09.13
9층에서 차가 한 대
와이어
를 끊고 튀어나갔다. 추락할 위기였다. 그런데 다행히도
와이어
가 차에 걸렸고 차는 9층 벽에 대롱대롱 매달리게 된다. 24세의 차량 운전자는 물론 주변 시민들도 간이 떨어질 상황이었다. 사건은 해피 엔드를 맞았다. 긴급 출동한 오스틴 소방대가 운전자를 구해낸 것이다. ... ...
최대 8배까지 늘어나는 투명전극 개발
2016.06.13
이상 높아졌으며, 8배까지 늘려도 손상되지 않았다. 은 나노
와이어
의 고질적 문제였던
와이어
간 저항 문제도 해결됐다. 연구팀이 개발한 투명전극이 달성한 전기전도성과 신축성은 모두 세계 최고 기록이다. 윤 교수는 “이 투명전극은 구부릴 수 있을 뿐 아니라 늘려도 전기전도성을 유지하기 ... ...
태양풍으로 가는 ‘우주 돛단배’ 어디까지 왔나
2016.05.06
브루스 와이먼 NASA 마셜우주비행센터 수석연구원은 “길이 20㎞, 굵기 1㎜인 가늘고 긴
와이어
20개만으로 원형 돛을 만들 것”이라며 “현재 이 돛이 얼마나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지 시험 중”이라고 밝혔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