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철사
전선
철사줄
와이어로프
로프
wire
뉴스
"
와이어
"(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두둥! 그래핀 위에서 저절로 자라는 나노
와이어
발견
2015.03.24
연구진이 발견한 나노
와이어
(막대모양)와 이를 이용해 만든 그래핀 나노리본. -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그래핀 위에서 금속 나노
와이어
가 ... 맞아서 나노
와이어
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다른 무기물을 이용해서 나노
와이어
를 만드는 연구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인터뷰] “나는 곧 나의 ‘커넥톰(Connectome)’” 서배스천 승 美 프린스턴대 교수
2015.01.30
뇌 신경세포의 연결망인 ‘커넥톰’을 완성하기 위해 ‘아이
와이어
’ 게임을 개발해 운영 중인 서배스천 승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그는 이르면 올해 말 해 ... 달리 전 세계 이용자들과 채팅으로 힌트를 주고받으며 격려하고 소통하는 방식이 아이
와이어
의 가장 큰 매력”이라고 말했다. ... ...
빛만큼 빠른 전하 움직임 첫 관측
2014.11.25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안영환 아주대 에너지시스템학과 교수팀은 탄소튜브나 나노
와이어
같은 나노 소자에서 움직이는 전하를 관측할 수 있는 ‘초고속 광전현미경’을 개발하고 실제 전하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전자제품은 기본적으로 반도체 소자 속에 ... ...
전자회로 끊어지면 레이저 포인터로 딱 2분만!
2014.10.15
부분에 레이저 빛을 비췄더니 아조고분자가 빛의 편광 방향에 따라 움직이면서 은나노
와이어
도 같이 움직여 끊어진 부분이 다시 붙었다. 이번에 개발된 회로는 업무용 레이저포인터로 2분 정도 쪼여주는 것만으로도 끊어진 부위가 원래 상태로 완벽하게 돌아왔다. 이 교수는 “자기회복 ... ...
첫 한국인 노벨 과학상 나올까
과학동아
l
2014.10.01
예측 이벤트를 열고 있다. 다른 후보들도 흥미롭다. 물리학 분야에서는 나노
와이어
분야 연구자인 ‘페이동 양’, 강유전체와 다중강성물질의 대가인 ‘토쿠라 요시노리’와 ‘라마무시 라메시’, ‘제임스 스코트’가 꼽힌다. 그리고 위상절연체 및 양자홀 효과 연구자인 ‘찰스 케인’과 ... ...
게임만 했는데 3차원 뇌지도 제작이 끝~
과학동아
l
2014.08.12
협약을 맺고 바이오인포매틱스센터를 공동 설립할 계획이다. 오픈
와이어
게임화면. 뇌세포 영상을 실제로 연결해 보는 형식으로 구성돼 있다. - eyewire.org 제공 ... ...
지금도 연금술을 볼 수 있다고?
과학동아
l
2014.07.23
지역에서 살며 주위 우라늄 이온을 환원시켜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인 우라늄 나노
와이어
를 만들어낸다. 또 우라늄 외에도 다양한 중금속을 먹이로 삼아 생활하며 환경을 정화하고 자원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 있다. 슈와넬라 세균이 자신의 세포 안팎에 중금속 '텔레륨'을 모아 놓은 모습 ... ...
주석 비켜, 구리 나노
와이어
납시오
과학동아
l
2014.07.07
마음대로 구부릴 수 있기 때문에 장점이 많다”며 “이번 연구결과가 향후 구리 나노
와이어
를 이용한 투명전극 개발의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지난달 1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옷처럼 입는 웨어러블 전자소자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5.28
또 태양전지에 접목시킬 경우 구겨진 상태에서도 태양빛을 충전할 수 있다. 투명 은나노
와이어
로 만든 전극을 피부에 붙여 실험하고 있다. - 재료연구소 제공 연구팀은 이 전자소자가 앞으로 의료, 스포츠, 섬유 및 식품산업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값싼 태양전지 투명전극 재료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5.21
약한데다 대기 중에서 산화되기 때문에 전도성이 떨어져서다. 문 교수팀은 은 나노
와이어
를 산화아연으로 감싸 이 단점을 극복했다. 산화아연은 기계적·열적 안정성이 뛰어난 물질이다. 문 교수팀은 이번에 개발한 투명전극을 실제 태양전지에 적용한 결과 인듐을 이용한 기존 투명전극을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