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철사
전선
철사줄
와이어로프
로프
wire
뉴스
"
와이어
"(으)로 총 166건 검색되었습니다.
입고 움직이면 방향까지 파악하는 똑똑한 센서
2015.07.14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신축성이 있는 기판 위에 전도성을 가진 은나노
와이어
를 전사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문제를 해결했다. 늘어난 기판위에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의 미세한 나노선을 찍어낸 후 기판을 원래 상태로 돌리면 주름이 생긴다. 주름과 수직 방향으로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6.30
들어 있어 강한 힘을 내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2009년 ‘휴보2’를 개발하면서 손가락에
와이어
를 넣어 사람처럼 가느다란 다섯 손가락으로 물건을 강하게 감싸 쥘 수 있게 만들었다. DRC휴보로 넘어오면서 손가락을 세 개로 바꾸는 대신 약 15kg의 물건을 감싸 쥘 수 있게 했다. 물건을 쉽게 ... ...
세월호 인양 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6.30
3m가량 들어 올린 다음, 플로팅 도크에 얹어 인양하는 방식이다. 가장 첫 단계로
와이어
를 연결하기 위해 잠수사가 물속으로 들어가야 한다. 전문가들은 “전체 인양작업 중잠수가 가장 위험하다”고 입을 모아 말한다. 세월호 구조작업을 하다 잠수사 2명이 죽고 89명이 다쳤다. 인양과정에서도 배 ... ...
수화 알아듣는 스마트 장갑
2015.05.13
신축성이 높은 전도성 스마트 섬유를 개발했다. 잘 늘어나는 고분자물질에 은나노
와이어
를 섞은 뒤 섬유를 만드는 ‘습식 방사법’을 적용해 실처럼 뽑아냈다. 그런 뒤 섬유 속에 전기를 잘 통하게 해 주는 은나노 입자를 채웠다. 실험 결과 이 섬유는 최대 3.2배까지 늘어나면서 1000번을 늘여도 ... ...
피부에 붙여 실시간 진단하는 ‘무선 스마트 센서’
2015.04.22
인체 단백질과 반응해 저항값이 변하는 그래핀으로는 센서를 만들고 저항이 작은 은나노
와이어
로는 전류를 흘려주는 부위인 전극을 만들어 결합시킨 것이다. 이 센서는 투명한데다 반으로 접거나 최대 2배까지 잡아당겨도 성능이 변하지 않는다. 특히 외부 안테나에서 쏜 전파를 이용해 작동하기 ... ...
두둥! 그래핀 위에서 저절로 자라는 나노
와이어
발견
2015.03.24
연구진이 발견한 나노
와이어
(막대모양)와 이를 이용해 만든 그래핀 나노리본. -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그래핀 위에서 금속 나노
와이어
가 ... 맞아서 나노
와이어
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다른 무기물을 이용해서 나노
와이어
를 만드는 연구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인터뷰] “나는 곧 나의 ‘커넥톰(Connectome)’” 서배스천 승 美 프린스턴대 교수
2015.01.30
뇌 신경세포의 연결망인 ‘커넥톰’을 완성하기 위해 ‘아이
와이어
’ 게임을 개발해 운영 중인 서배스천 승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그는 이르면 올해 말 해 ... 달리 전 세계 이용자들과 채팅으로 힌트를 주고받으며 격려하고 소통하는 방식이 아이
와이어
의 가장 큰 매력”이라고 말했다. ... ...
빛만큼 빠른 전하 움직임 첫 관측
2014.11.25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안영환 아주대 에너지시스템학과 교수팀은 탄소튜브나 나노
와이어
같은 나노 소자에서 움직이는 전하를 관측할 수 있는 ‘초고속 광전현미경’을 개발하고 실제 전하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전자제품은 기본적으로 반도체 소자 속에 ... ...
전자회로 끊어지면 레이저 포인터로 딱 2분만!
2014.10.15
부분에 레이저 빛을 비췄더니 아조고분자가 빛의 편광 방향에 따라 움직이면서 은나노
와이어
도 같이 움직여 끊어진 부분이 다시 붙었다. 이번에 개발된 회로는 업무용 레이저포인터로 2분 정도 쪼여주는 것만으로도 끊어진 부위가 원래 상태로 완벽하게 돌아왔다. 이 교수는 “자기회복 ... ...
첫 한국인 노벨 과학상 나올까
과학동아
l
2014.10.01
예측 이벤트를 열고 있다. 다른 후보들도 흥미롭다. 물리학 분야에서는 나노
와이어
분야 연구자인 ‘페이동 양’, 강유전체와 다중강성물질의 대가인 ‘토쿠라 요시노리’와 ‘라마무시 라메시’, ‘제임스 스코트’가 꼽힌다. 그리고 위상절연체 및 양자홀 효과 연구자인 ‘찰스 케인’과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