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양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을 소변으로 배출한답니다. 바닷물을 마셔도 목이 계속 마를 수밖에 없지요. 심하면 몸에서 물이 많이 빠지는 탈수 현상이 일어나 위험해질 수 있어요.염분을 없애려면? 끓이거나 걸러내라!바닷물에서 염분을 없애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바닷물을 끓여서 증발시키는 거예요. ... ...
- [Career] 학습과 진로탐색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미래인재캠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교육을 받는다. 또 프로그래밍 언어인 자바를 배운 뒤 애니메이션 제작을 실습한다. 그 밖에도 미국항공우주국(NASA) 연구소 등을 탐방할 예정이다. 특히 귀국한 뒤에는 카네기멜론대 로봇프로그램과, 코딩, 3D프린팅에 대한 심화교육을 실시해 학생들이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이나 메이커 페어, ... ...
- 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머리 부분의 원형 강판이 암반을 갈아내면, 뒤의 몸통 부분이 바위 조각들을 밖으로 빼내고 터널 벽면에 콘크리트 조각을 붙여나가죠. 이 덕분에 크기나 깊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긴 터널도 뚫어나갈 수 있답니다.★비밀 2 지하를 향해 돌진하는 거대 굴착기 ‘TBM’안전하게 땅을 파고 들어갔다 ... ...
- Part 2. [두 번째 실험] 한 점도 겹치지 않게 모나리자 구기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발한 사례를 하나 더 소개할게요. 바로 ‘알렉산더의 뿔 달린 구’! 3차원 공간을 안과 밖으로 나누는 이 구는 직관을 비껴가는 독특한 성질을 가지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고무고무 박사의 위상수학 실험실Part 1. [첫 번째 실험] 바지 입은 채로 팬티 갈아입기Part 2. [두 번째 ... ...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연세대에서 만들고 있는데 반도체 기술을 이용하며, 한국 기업들도 참여하고 있다. 그밖에도 뮤온 추적기와 데이터 분석을 위한 컴퓨팅 자원도 한국에서 제공하고 있다.Q CMS 실험은 어떤가. 에너지를 높인 뒤 진행된 실험에서 새로운 성과는 없나버틀러: 첫 해인 2015년에는 데이터를 많이 얻지 ...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경우 소행성대 바깥의 C형(탄소질)이나 D형(규산염과 탄소질) 소행성과 태양계 밖에서 오는 혜성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많다. 탄소질이 풍부한 우주먼지에서는 아미노산을 포함한 복잡한 유기물질이 발견되기도 한다. 이는 지구 생명의 탄생에 우주먼지가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시사한다(doi:10.1038/3422 ... ...
-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가끔 보석 내부로 들어온 빛이 보석의 면에 수직인 선과 이루는 각도가 일정 값보다 크면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다시 내부로 튕겨 들어오는데, 이 각도의 크기를 ‘임계각’이라고 합니다. 보석을 조각할 때 임계각에 맞춰 조각하면 빛이 보석 안에 머무르기 때문에 더욱 반짝반짝 빛나게 됩니다 ... ...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데 꽤나 마음이 상했다. 그 길로 김 교수는 꼬박 1주일 동안 마방진에 매달렸다. 집밖으로 나오지도 않고 잠자는 시간 외에는 마방진만 생각했다.그 결과 4차 마방진의 해법을 찾아냈다. 단순히 4차 마방진의 해를 하나 찾은 것이 아니라 마방진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알아낸 것이다. 이 원리는 4차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빨간 물감을 주입하자, 풍선 안쪽의 혈관(?)이 드러난다. 구석구석 흐른 빨간 물감이 곧 밖으로 뚝뚝 떨어진다. 쥐 같은 작은 동물의 심장 같기도 한 영상 속 물건은 놀랍게도 시금치 이파리다. 두 번째 영상은, 이 하얀 이파리에 키운 사람의 심장세포가 실제로 박동하는 모습이다. 당신은 지금 ...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것입니다.” 김 선임연구원은 유사액체층에서는 산화환원 반응 속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극지연 연구팀은 해양수산부에 내년부터 6년 동안 ‘얼음화학 특성 연구를 통한 극지방 자연현상규명 및 응용기술 개발’ 연구를 할 것을 제안한 상태다. 극지방과 지구의 자연 현상을 이해하고,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