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막노동’에 가까웠다. 한눈에 봐도 물살이 빠른 강변에 아슬아슬하게 기대어 물
밖
으로 노출된 4억6700만 년 전 지층의 석회암 시료들을 채집했다(왼쪽 아래 사진). 그런 뒤 시료를 강한 산성 용액인 염산(HCl)과 불산(HF)에 넣어 크롬 스피넬 알갱이들만 남기고 다른 성분들은 녹여버렸다. 크롬 ... ...
[Culture] 플레이 전략 3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잡으려면 볼로 타깃을 정확하게 맞혀야 한다(물론 게임 설정 상, 다 잡은 녀석이 볼
밖
으로 도망칠 때도 있다). 하지만 원을 살짝 빗맞았을 때도 잡힐 때가 있다. 이 게임이 볼과 타깃의 충돌을 인식하는 원리이기 때문이다.스크린 속 공간을 2차원 좌표라고 가정했을 때, 볼과 타깃은 각각 중심이 (x, y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3화 탈출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갈지 오른쪽으로 갈지 잠시 고민했다. 이 곳을 전혀 모르는 상태라 순전히 운에 맡기는 수
밖
에 없었다.‘동전이라도 던져야 하나….’그때였다.오른쪽 복도에서 발걸음 소리가 들렸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모르겠지만, 고민할 필요가 없어졌다.하림은 잽싸게 문을 닫고 왼쪽으로 움직였다. 조금 가자 ... ...
Part 2. 강화된 온실효과가 기후변화의 주범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수증기에 흡수되고 다시 지표로 방출된다. 만약 지구가 흡수한 에너지 모두를 대기권
밖
으로 방출했다면 지구 복사 온도는 255K(약 -18℃)이 될 것이다. 그러나 대기층이 에너지를 흡수해 재방출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288K(약 15℃)을 유지한다. 지표면 온도가 33℃가량 높아져서 생물이 살아가기에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상단의 QR코드로 동영상부터 보세요.첫 번째 질문선택받은 정자, 기다리는 난자?‘둥둥둥’ 배경음악이 빨라지며 정자가 물고기 떼처럼 헤엄칩니다. 순간 ‘펑’ 하는 연기와 함께 난소에서 난자가 빠져나옵니다.길고 힘들었던 레이스에서 가장 먼저 골인한 정자와 그를 기다린 난자의 만남… ... ...
[Origin]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대기에서 길이가 1만 km나 되는 활 모양 무늬를 관측했다는 반가운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
밖
에도 ISAS는 2010년에 태양의 복사압을 추진 동력으로 삼는 우주범선(이카로스)을 최초로 시험했고요. 2014년엔 ‘하야부사2’를 무사히 쏘아 올렸습니다. 내년에는 유럽우주국(ESA)과 함께 수성탐사선인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날
밖
에 나가면 몸이 부르르~ 떨려요. 근육의 진동으로 열을 발생시켜 체온을 유지하는 거죠. 여기서 ‘진동’은 ‘떨칠 진(振)’과 ‘움직일 동(動)’이 합쳐져서 ‘흔들리며 움직임’이라는 뜻이랍니다.‘떨칠 진(振)’은 ‘손 수( =手)’와 ‘때 신(辰)’이 합쳐진 한자예요. ‘때 신(辰)’은 원래 ... ...
[소프트웨어] SW교육에 공유를 심다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과목이 5~6학년에만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세 학교는 모든 학년이 참가할 수 있는 교실
밖
교육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한다.지보초는 전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SW 대회를 연다. 이를 통해 SW 정규 수업이 없는 저학년들도 SW교육을 받을 수 있다. 4월 SW인증제 주간에는 학생들이 단계를 밟아 인증서를 ... ...
[과학뉴스] ‘항문 먼저 입 나중’ 초기 후구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공동연구팀이 중국 중부 산시 성에서 발견한 고대 미생물 ‘사코리투스’는 크기가 약 1mm
밖
에 되지 않으며, 타원 모양의 몸에 거대한 입이 있다. 연구팀은 지층연대측정 결과 사코리투스가 약 5억4000만 년 전인 캄브리아기 초기, 얕은 바다의 퇴적물 속에서 살았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팀은 ... ...
[Issue] 독극물 괴소문의 진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대부분 물에 잘 녹고 색과 맛이 없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이런 약물은 소변을 통해 몸
밖
으로 빨리 배출되기 때문에 검출도 어렵습니다. 미국에서는 2014년 약물에 넣으면 색깔이 변하는 매니큐어가 발명되기도 했습니다.환각성분이 묻어 나오는 핫팩?여담으로, 대구 서문시장 근처에서 한 종교단체가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