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선"(으)로 총 4,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광유전학, 마음을 치료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마찬가지의 방법을 인간에게도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우선 뇌에 들어와도 전혀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바이러스를 찾고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설령 안전성이 확보된다 하더라도 자신의 뇌에 바이러스를 주사한다는 사실에 대한 심리적인 저항도 있을 것이다 ... ...
- [교과연계수업] 현금이 사라진다?! 미래의 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이런 화폐에 어떤 과학 기술이 담겨 있는지 알아보기로 해요. 우선 최근에는 현금 사용이 많이 줄어들었다지요? 얼마나 줄어들었을까요? GIB ○ 지구촌에서 현금이 사라진다 “다음 세대에 태어나는 아이들은 돈(현금)이 무엇인지 모르게 될 것이다.” 지난해 11월, ... ...
- 보온에서 생존 비결까지! 털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조류에 속하는 동물이에요. 하지만 보통 새들과 달리 독특한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지요.우선 펭귄은 하늘을 날 수 없는 대신 바다 속에서 자유롭게 수영하기에 적합한 몸을 가지고 있어요. 물속에서 움직일 때 저항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몸이 유선형이랍니다. 또한 날개는 물고기의 지느러미와 ... ...
- 명태 vs 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수염이 하나 있는데, 이것도 먹이를 잘 먹기 위한 거예요. 먹이를 많이 먹기 위해선 우선 물에 떠다니는 다른 생물을 잘 찾아야 하는데, 물이 탁하면 찾기가 어려워요. 그럴때 대구는 아래턱에있는 수염을 이용해 그 촉각으로 먹이를 찾는답니다. 수염이 일종의 감각기관인 셈이에요.대구는 사는 ... ...
- [과학뉴스] 자라나라, 머리카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방해해요. 그러면 모낭을 공격하는 세포의 작용이 억제된답니다.우선 연구팀은 발모제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쥐의 털을 면도기로 깎은 뒤, 부분적으로 발모제를 발라 주었어요. 그러자 8일 후부터 발모제를 바른 부위에서만 털이 자라나기 시작했고, 불과 3주 만에 털을 깎기 ... ...
- 미래를 엿보다! 201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있을 거야.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에서는 곳곳에서 다양한 미래 기술을 체험할 수 있었어. 우선 우리는 한국과학기술원의 가상현실을 체험하기로 했단다. 이곳에서 물안경 같은 안경을 썼더니 눈앞에 실감나는 롤러코스터 영상이 펼쳐졌어. 내가 고개를 돌리면 화면도 따라 움직이면서 진짜로 ... ...
- 태양빛을 조절한다! 편광 선글라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위해 선글라스가 만들어졌어. 선글라스는 쓰임새에 따라 각각 다른 종류의 렌즈가 쓰여. 우선 눈 건강에 해로운 자외선을 차단해 주는 렌즈가 있지. 맨눈으로 오랜 시간 강렬한 햇빛을 보면 자외선으로 인해 망막 염증, 백내장 등 눈 질환에 걸릴 수 있거든.낚시용 선글라스 역시 자외선을 차단하는 ... ...
- 세상에 이런 이름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Attenborough)을 딴 거랍니다.학명을 알아야 생물을 안다그럼 왜 사람들은 학명을 붙일까요? 우선 생물을 분류하고 학명을 붙이면 가장 가까운 생물종을 알 수 있어요. 위의 나무를 보세요. 까치는 참새보다 까마귀에,멍게보다 고양이에 가깝지요. 이런 그룹을 계속 모으고 나눠가면 생물이 어떻게 ... ...
- PART1. 영화로 보는 화성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우주복은 우주선이 발사되거나 지구로 귀환할 때 입어요.우주복은 어떤 구조일까요? 우선, 사람의 체온은 36.5℃로 몸에서 열이 발생해요. 이 때문에 우주인의 피부와 가장 가까운 안쪽층에는 얇은 플라스틱 튜브가 달려 있어요. 이 튜브에 냉각수가 흐르면서 우주복 안의 온도가 계속 올라가는 것을 ... ...
- 알록달록,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전자피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교수팀이 영하 150℃에서도 얼지 않는 물이 있다는 걸 실험으로 확인했어요.연구팀은 우선 아주 가느다란 관에 물을 넣고 압력을 높였어요. 우리가 느끼는 공기의 압력이 1기압인데, 연구팀은 관 안의 압력을 2000기압까지 높였죠. 그리고 온도를 영하 190℃로 떨어뜨려 관 안에 넣은 물을 얼렸답니다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