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선"(으)로 총 4,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게임카페 2기, 두 번째 수업 스마트폰으로 내가 만든 게임을 즐기자!수학동아 l2015년 11호
- E는 피해야 하는 적인 거미, I는 획득하면 점수가 올라가는 아이템인 다이아몬드예요.우선 다함께 1단계 게임을 만들었어요. 먼저 ‘게임 시작’, ‘만든 사람’, ‘처음으로’라는 세 가지 버튼을 만들었어요. 다음으로 토끼의 x, y 좌푯값과 이동속도를 설정하고 마우스를 따라 움직이도록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연구소로 자리를 옮긴 린달은 본격적으로 의문을 풀기 위한 연구에 들어갔다. 우선 DNA가 느리지만 분명히 부식(decay)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혀냈다. 유전체 부식속도는 매우 빨라서 그대로라면 인간이 존재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기작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물론 올갠 온어 칩이 상용화되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살아있는 세포와 움직이는 유체를 다루는 작업인 만큼, 기술적인 장벽이 높다. 올갠 온어 칩 분야에서는 최근 PDMS를 능가하는, 생체에 대해 독성이 없는 천연 상태의 고분자 재료를 찾는 것이 이슈다. 콜라겐이나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를 신호로 소장에 붙은 췌장(이자)에서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인슐린은 우선 체세포들이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쓰게 하고, 남은 포도당을 지방산으로 바꿔 체지방 합성을 촉진한다. 또한, 음식을 통해 함께 흡수된 아미노산을 이용해 체단백질 합성을 촉진하고 동시에 단백질 분해를 ...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의사로 구성된 ‘프로젝트523’을 출범한다. 프로젝트523은 말라리아 치료제 개발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고, 장기적으로는 중국 천연약품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기로 했다. 과학을 천대하는 문화대혁명이 한창이던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결정이었다. 투 교수는 프로젝트523에 연구책임자로 참여했다. ...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➐ 식품첨가물] 첨가물, 안심하고 먹어도 되나요?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대개 반대로 생각하죠.”백 교수는 첨가물에 대해 오해하는 게 많다고 지적한다. 우선 식품첨가물은 대부분 자연에 없던 물질을 인공적으로 합성해 만들었다는 오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품첨가물은 모두 605종. 백 교수는 “이중 천연 첨가물이 197종”이라며 “나머지 합성 ... ...
- 인류의 시작부터 함께 한 학문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에너지자원공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정용권 안녕하세요. 1학년 정용권입니다. 우선 에너지자원공학과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정은혜 자원 개발의 시작부터 끝까지, 전 과정을 공부합니다. 에너지자원공학과의 출발은 광산학과였어요. 광업이 자원을 개발하는 일이잖아요. 에너지를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풍부한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지요.김치를 더욱 맛있게 먹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선 맛있는 김치는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잘 자라는 ‘혐기성 미생물’들이 발효하면서 만들어져요. 이 미생물들은 젖산과 초산, 주정, 덱스트란, 만니톨(당알코올), 이산화탄소 등 각종 화합물을 만들지요. 이때 ... ...
- 신나는 지사탐 활동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버릴 것이 아니라, 귀화식물이 우리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꾸준히 지켜보는 것이 우선”이라며 귀화식물 탐사의 중요성을 알려 주셨답니다.2013년부터 지사탐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전북 익산의 닥터구리팀은 그 동안의 탐사 경험을 발표하기도 했어요. 닥터구리팀 유다은(이리영등중 1)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무시 못 할 수준이다.돋보기 대신 카메라정 박사는 여러 면에서 파브르를 연상케 한다. 우선 늦은 나이에 학위를 땄다. 41살이던 2003년 성신여대 생물학과 대학원에 진학해 2008년 곤충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류학계와 멀리 떨어져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연구를 늦게 시작하다보니 처음부터 교수가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